기사 메일전송
“극단주의 정치권에 갈 곳 없는 민생”
  • 이지선 정치부기자
  • 등록 2025-03-13 14:05:02

기사수정

                                   새미래민주당 이미영 최고위원,


- 이 최고위원, “역대급 자영업자 폐업, 고용시장 빙하기, 자살률 최대치...지금은 국가비상사태”
“양극단으로 갈리어 싸우는 정치권에게 민생문제는 뒷전”

새미래민주당 이미영 최고위원은 12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불안한 환율 상승률과 경기 불황으로 인해 흔들리는 한국경제와 민생을 논의해야 할 상황에 헌법재판관 임명과 윤석열 석방을 둘러싼 정쟁에만 몰두하고 있는 정치권을 비판했다.

이 최고위원은 자영업자 폐업과 관련하여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월의 자영업자 수는 550만 명으로 1997년 IMF 당시의 590만 명보다 현저히 낮은 수치이며 두 달 사이 20만 명이 폐업을 선택했고 통계 최초로 취업자 대비 자영업자의 비율이 20%도 안 되는 상황에 이르렀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최고위원은 “고용시장 또한 지난해 도·소매와 건설 등 내수 관련 업종에서만 16만 개 이상의 일자리가 사라졌고 고용노동부는 지난달 구직급여 신청자가 1년 전보다 25% 늘어난 11만 7천여 명이며 지급액은 1조 700억 원을 초과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고 지적했다.

하루가 다르게 고달파지는 민생을 두고 이 최고위원은 “작년 한 해 스스로 생을 마감한 사람의 수만 1만 4천여 명이다. 국가비상사태이다”라며 “정치권은 하루라도 빨리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사람들이 다시 일어설 수 있도록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공감대가 형성된 정책을 중심으로 추경을 서두르고 상황에 따라 규모를 늘려나가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주장하며 모 아니면 도 식의 극단주의로 빠져버린 정치권을 향해 대화와 타협을 통한 신속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한국문화원 없는 52개 도시·국가서도 ‘케이-컬처’ 활짝…문체부, ‘어울림 한국문화페스티벌’ 확대 문화체육관광부는 전 세계 한국문화원이 없는 52개 도시 및 국가를 대상으로, 현지 주민들과 함께하는 ‘어울림 한국문화페스티벌’을 연중 개최한다고 4일 밝혔다. 이는 기존 한국문화원이 설치된 국가의 다른 도시를 중심으로 추진돼온 ‘찾아가는 케이-컬처’ 사업을 전면 확대·개편한 것으로, 한류의 지리적 사각지대..
  2. 영풍문고, 강남롯데점 7월 3일 신규 오픈… 도심 속 문화 휴식처로 출발 국내 대표 서점 브랜드 영풍문고(대표 김경환)가 7월 3일(목)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롯데백화점 강남점 지하 1층에 ‘영풍문고 강남롯데점’을 새롭게 오픈했다. 약 70평 규모로 조성된 강남롯데점은 바쁜 일상 속에서도 책과 문화를 가까이할 수 있는 도심 속 휴식처를 콘셉트로 구성됐다. 베스트셀러부터 맞춤형 도서 큐레이션까지 다양한 ...
  3.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63%로 상승…"경제·민생 정책" 호평 한국갤럽이 7월 8일부터 10일까지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직무수행 긍정평가가 63%를 기록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는 부정평가 23%보다 40%포인트 높은 수치로, 응답자들은 긍정평가 이유로 `경제·민생 정책`(15%)과 `추진력·속도감`(13%)을 가장 많이 꼽았다.한국갤럽이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00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
  4. K-뷰티, 2025년 상반기 수출 55억 달러…역대 최고치 경신 2025년 상반기 우리나라 화장품 수출액이 55억 달러(잠정)를 기록하며 역대 상반기 최대치를 경신했고, 전년 동기 대비 14.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25년 상반기(1~6월) 화장품 수출액이 전년 동기(48억 달러)보다 7억 달러 증가한 55억 달러를 기록했다고 3일 밝혔다. 이는 역대 상반기 중 최고 수출액으로, K-뷰티의 세계 시...
  5. “불법 개조도 아닌데 과태료?”…국민권익위, 오토바이 경음기 과태료 부당 판정 국민권익위원회는 경찰이 오토바이 경음기 ‘교체’를 ‘추가 부착’으로 확장 해석해 과태료를 부과한 행위가 위법·부당하다며, 해당 지방자치단체에 과태료 처분 취소 및 이미 납부한 24만 원의 반환을 권고했다고 3일 밝혔다.오토바이 경음기 교체를 이유로 과태료를 부과받은 민원인 A씨가 국민권익위원회에 억울함을 ...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