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천대학교, 지능형 홈케어 기반구축사업 성과보고 및 컨퍼런스 개최
가천대학교 기반구축사업단(단장 이은석)은 10월 31일(금) 인천 라마다 송도호텔에서 ‘가천대학교 기반구축사업단 2025년 사업 성과보고&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가천대학교 지능형 홈케어 기반구축사업단 이은석 교수팀이 주도해 진행했으며, 가천대학교 교내 관계자와 정부 및 지자체, 공동연구기관, 병원, 산업체, 외부 대학, 그리고 스마트홈 서비스 사용자 등 총 16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지능형 홈케어 기술의 발전 방향과 서비스 실증 확산을 위한 협력 방안을 함께 논의하며 행사의 의미를 더했다. 또한 가천대학교 메디
김행선 시인, 2025년 남양주 북한강문학제에서 제15회 북한강문학상 본상 수상
지난 11월 1일(토) 오후 1시부터 오후 4시까지 경기 남양주 북한강야외공연장에서 ‘제15회 북한강문학제’가 개최됐다. 이번 행사는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소속 예술인들을 대상으로 한 엄격한 심사를 거쳐 선정된 북한강문학상 수상자들을 격려하고, 문학과 사진이 어우러진 예술의 장을 열었다. 오픈식에서 소프라노 정애화 가수의 공연을 시작으로 행사의 문을 열었다. 제15회 북한강문학상 본상은 김행선(서울) 시인이 수상했다. 수상자 김행선 시인은 한국예술인복지재단 등록 작가며, 문예지에 1년 이상 작품을 발표하거나 시집을 출간한 실적을 기준으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둘러싼 여론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NBS가 3월 2주 차에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55%가 탄핵을 인용해 파면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39%는 탄핵을 기각하고 직무에 복귀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둘러싼 여론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NBS가 3월 2주 차에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55%가 탄핵을 인용해 파면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39%는 탄핵을 기각하고 직무에 복귀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탄핵 심판의 최종 결과에 대한 전망도 비슷한 흐름을 보였다. 응답자의 53%는 헌법재판소가 탄핵을 인용해 파면할 것이라고 예상했으며, 38%는 탄핵이 기각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탄핵 인용을 주장하는 응답자 중 11%는 탄핵이 기각될 것으로 전망했고, 탄핵 기각을 주장하는 응답자 중 14%는 탄핵이 인용될 가능성이 있다고 답했다.
윤 대통령의 탄핵 심판 대응에 대한 평가에서는 부정적 의견이 우세했다. ‘잘못하고 있다’는 응답이 57%로, ‘잘하고 있다’(37%)보다 20%p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탄핵 인용을 주장하는 응답자 중 90%가 부정적으로 평가한 반면, 탄핵 기각을 주장하는 응답자 중 85%는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판 과정에 대한 신뢰도는 ‘신뢰한다’(51%)와 ‘신뢰하지 않는다’(45%)가 큰 차이 없이 나타났다. 특히 진보층과 중도층에서는 신뢰도가 각각 76%, 56%로 높은 반면, 보수층에서는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62%로 더 많았다.
헌법재판소의 최종 결정에 대한 수용 여부를 묻는 질문에는 ‘내 생각과 달라도 수용하겠다’는 응답이 54%로, ‘내 생각과 다르면 수용하지 않겠다’(42%)보다 12%p 높았다. 하지만 탄핵 기각을 주장하는 응답자들은 수용 여부에 대한 의견이 양분되며(수용 46%, 불수용 51%) 이 문제가 정치적 갈등을 더욱 심화시킬 가능성이 엿보였다.
차기 대통령 적합도 조사에서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31%의 지지를 얻으며 선두를 차지했다. 김문수(11%), 홍준표(7%), 오세훈(6%), 한동훈(5%)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대통령 후보별 호감도에서도 이재명(34%)이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으며, 오세훈(26%), 김문수(25%), 홍준표(21%), 한동훈(17%) 순으로 나타났다.
대선 구도에 대한 인식은 ‘정권 교체’(47%)와 ‘정권 재창출’(42%)로 팽팽했다. 정당지지도에서도 국민의힘(38%)과 더불어민주당(36%)이 오차범위 내 접전을 벌이는 가운데, 조국혁신당(5%), 개혁신당(2%)이 뒤를 이었다.
한편,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서는 ‘기초연금, 공무원 연금 등 전반적인 연금제도를 개혁해야 한다’(59%)는 응답이 ‘기존 국민연금제도 틀 안에서 개혁해야 한다’(28%)보다 높았다. 또한 국민연금 재정 안정화 방안으로는 ‘수급 대상 연령 상향’(38%)이 가장 높은 지지를 받았으며, ‘수급액 하향’(24%)과 ‘보험료율 인상’(22%)이 뒤를 이었다.
이번 조사는 전국 18세 이상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3월 10일부터 12일까지 진행됐으며, 95% 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는 ±3.1%p이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