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천대학교, 지능형 홈케어 기반구축사업 성과보고 및 컨퍼런스 개최
가천대학교 기반구축사업단(단장 이은석)은 10월 31일(금) 인천 라마다 송도호텔에서 ‘가천대학교 기반구축사업단 2025년 사업 성과보고&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가천대학교 지능형 홈케어 기반구축사업단 이은석 교수팀이 주도해 진행했으며, 가천대학교 교내 관계자와 정부 및 지자체, 공동연구기관, 병원, 산업체, 외부 대학, 그리고 스마트홈 서비스 사용자 등 총 16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지능형 홈케어 기술의 발전 방향과 서비스 실증 확산을 위한 협력 방안을 함께 논의하며 행사의 의미를 더했다. 또한 가천대학교 메디
김행선 시인, 2025년 남양주 북한강문학제에서 제15회 북한강문학상 본상 수상
지난 11월 1일(토) 오후 1시부터 오후 4시까지 경기 남양주 북한강야외공연장에서 ‘제15회 북한강문학제’가 개최됐다. 이번 행사는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소속 예술인들을 대상으로 한 엄격한 심사를 거쳐 선정된 북한강문학상 수상자들을 격려하고, 문학과 사진이 어우러진 예술의 장을 열었다. 오픈식에서 소프라노 정애화 가수의 공연을 시작으로 행사의 문을 열었다. 제15회 북한강문학상 본상은 김행선(서울) 시인이 수상했다. 수상자 김행선 시인은 한국예술인복지재단 등록 작가며, 문예지에 1년 이상 작품을 발표하거나 시집을 출간한 실적을 기준으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2월 6일 오전 11시 서울 코엑스 스튜디오 159에서 ‘국가유산청이 새로 쓰는 신라사’ 공개회를 개최하고, 신라 왕경 핵심유적 발굴조사 성과를 발표한다. 이번 행사에서는 신라 왕궁인 월성과 ‘동궁과 월지’ 발굴조사를 통해 밝혀진 신라 왕경의 의례, 기술, 공예 및 예술품에 대한 연구 결과가 공개된다.
경주 월성 의례 유구 출토 주요 유물 사진 (국가유산청)
특히, 태자의 거처인 ‘동궁’이 기존에 알려진 월지 서편이 아닌 동편(Ⅱ-나지구)에서 확인되었다는 점이 주목된다. 기존 월지 서편(Ⅰ-가지구, A건물지)은 동궁으로 추정됐으나, 최근 조사 결과 왕이 머물렀던 공간일 가능성이 높아졌고, 이에 따라 동궁은 월지 동편에서 독립적으로 운영된 것으로 밝혀졌다. 새롭게 확인된 동궁 건물지는 복도식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넓은 마당과 독립된 원지(정원 내 연못)를 포함하고 있어 신라 왕경의 토목기술과 공간 활용 방식을 새롭게 조명할 기회를 제공한다.
이날 공개회에서는 신라 왕경의 의례적 측면도 조명된다. 월성에서 발견된 인신공희(사람을 제물로 바치는 의식) 흔적, 월성 해자에서 출토된 의례용 축소 목재 배, 사로국 시기의 의례 유적 등이 주요 연구 성과로 소개된다. 특히, 지난해 10월 공개된 의례용 개 유물 이후 추가 조사에서 개 한 마리와 수정 목걸이, 둥근고리칼, 상어 이빨, 1,200여 개의 콩 등이 함께 발견되어 신라 초기 의례 문화를 밝힐 중요한 단서가 될 전망이다.
아울러 신라 공예 및 예술품 연구에서도 의미 있는 성과가 발표된다. 동궁 북쪽 생활공간에서 출토된 상아 주사위(2017)와 선각단화쌍조문금박(2022) 등이 새롭게 재조명되며, 이를 통해 태자가 생활한 공간에서 사용된 고급 놀이기구와 신라 공예문화의 수준을 확인할 수 있다.
국가유산청 최응천 청장은 “이번 발굴 성과를 통해 신라 왕경의 구조와 기능을 재정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신라사 연구를 지속적으로 심화해 국민과 적극적으로 소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