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일렉트릭, ESS용 PCS 미국 ‘UL 인증’ 획득
LS일렉트릭이 ESS(에너지저장장치) 핵심 구성요소인 PCS(전력변환장치; Power Conversion System)[1] 최신 제품에 대해 미국 수출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UL(Underwriters Laboratories; 보험협회 시험소) 인증을 획득했다. LS일렉트릭은 지난 4일 안양 글로벌 R&D 캠퍼스에서 서장철 LS일렉트릭 전력 연구개발 본부장 겸 최고기술책임자(CTO), 웨슬리 궉(Wesley Kwok) UL 솔루션즈(UL Solutions) 신재생에너지 및 산업 자동화(EIA; Energy & Industrial
가천대학교, 지능형 홈케어 기반구축사업 성과보고 및 컨퍼런스 개최
가천대학교 기반구축사업단(단장 이은석)은 10월 31일(금) 인천 라마다 송도호텔에서 ‘가천대학교 기반구축사업단 2025년 사업 성과보고&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가천대학교 지능형 홈케어 기반구축사업단 이은석 교수팀이 주도해 진행했으며, 가천대학교 교내 관계자와 정부 및 지자체, 공동연구기관, 병원, 산업체, 외부 대학, 그리고 스마트홈 서비스 사용자 등 총 16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지능형 홈케어 기술의 발전 방향과 서비스 실증 확산을 위한 협력 방안을 함께 논의하며 행사의 의미를 더했다. 또한 가천대학교 메디
김행선 시인, 2025년 남양주 북한강문학제에서 제15회 북한강문학상 본상 수상
지난 11월 1일(토) 오후 1시부터 오후 4시까지 경기 남양주 북한강야외공연장에서 ‘제15회 북한강문학제’가 개최됐다. 이번 행사는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소속 예술인들을 대상으로 한 엄격한 심사를 거쳐 선정된 북한강문학상 수상자들을 격려하고, 문학과 사진이 어우러진 예술의 장을 열었다. 오픈식에서 소프라노 정애화 가수의 공연을 시작으로 행사의 문을 열었다. 제15회 북한강문학상 본상은 김행선(서울) 시인이 수상했다. 수상자 김행선 시인은 한국예술인복지재단 등록 작가며, 문예지에 1년 이상 작품을 발표하거나 시집을 출간한 실적을 기준으
기아가 31일 열린 기업설명회(IR)를 통해 2025년 3분기 경영실적을 발표했다.
기아가 31일 열린 기업설명회(IR)를 통해 2025년 3분기 경영실적을 발표했다.
기아는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과 미국 관세 부담 속에서도 하이브리드 및 전기차 판매 호조에 힘입어 역대 3분기 기준 최대 매출을 기록했으나, 관세와 환율 영향으로 영업이익은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다.
기아의 3분기(7~9월) 판매량은 **78만 5,137대(전년 대비 2.8% 증가)**로, 국내 13만 8,009대(10.2%↑), 해외 64만 7,128대(1.4%↑)를 판매했다.
매출액은 28조 6,861억 원(8.2%↑), 영업이익은 1조 4,622억 원(49.2%↓), 경상이익은 1조 8,868억 원(41.6%↓), 당기순이익(비지배지분 포함)은 **1조 4,225억 원(37.3%↓)**을 기록했다(IFRS 연결기준).
기아는 “글로벌 하이브리드 수요 증가와 전기차(EV) 판매 확대로 역대 3분기 기준 최대 판매와 매출을 달성했다”며 “다만 미국 관세 본격화, 글로벌 인센티브 확대, 기말 환율 급등에 따른 충당부채 평가손 영향으로 손익이 둔화됐다”고 설명했다.
국내에서는 쏘렌토, 카니발 등 고수익 RV 모델의 판매 증가와 EV4 신차 효과로 판매가 확대됐다. 해외에서는 미국을 중심으로 하이브리드 수요가 견조했고, 아시아·태평양과 중남미 등 신흥시장에서 물량을 늘리며 성장을 이어갔다.
반면 서유럽은 슬로바키아 공장의 전동화 전환에 따른 일부 모델 단산 영향으로 판매가 감소했고, 인도는 9월 말 세제 인하를 앞둔 대기수요로 일시적 판매 둔화를 겪었다.
매출 호조에도 불구하고 매출원가율은 81.1%로 전년 대비 4.3%포인트 상승, **판매관리비율도 13.8%(1.5%p↑)**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영업이익률은 5.1%**로 하락했다.
기아의 3분기 친환경차 판매는 **20만 4,000대(전년 대비 32.3% 증가)**로, 전체 판매의 26.4%를 차지했다.
유형별로는 ▲하이브리드 11만 8,000대(40.9%↑)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1만 7,000대(2.6%↓) ▲전기차 7만 대(30.0%↑)를 판매했다.
주요 시장별 친환경차 비중은 ▲국내 47.1% ▲서유럽 46.0% ▲미국 24.6%로 전년 대비 각각 6~7%포인트 상승했다.
기아는 하반기에도 글로벌 통상 불확실성과 관세 부담이 리스크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하면서도, 하이브리드 라인업 확대와 전기차 신차 출시를 통해 성장세를 이어간다는 전략이다.
국내 시장에서는 RV 중심의 하이브리드 판매를 지속 강화하고, **기아 최초의 픽업트럭 ‘타스만(Tasman)’**과 신형 EV5, PV5 출시를 통해 친환경차 비중을 높일 계획이다.
미국 시장에서는 수요와 규제 변화에 대응해 생산 체제를 유연화하고, 인기 모델의 하이브리드 버전을 확대한다.
유럽에서는 EV3의 호조세를 이어가며 EV4·EV5·PV5 등 전기차 라인업을 확충, 전동화 선도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인도 시장에서는 셀토스 완전변경 모델 출시와 신규 딜러 확대를 통해 판매 및 서비스 네트워크를 강화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