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일렉트릭, ESS용 PCS 미국 ‘UL 인증’ 획득
LS일렉트릭이 ESS(에너지저장장치) 핵심 구성요소인 PCS(전력변환장치; Power Conversion System)[1] 최신 제품에 대해 미국 수출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UL(Underwriters Laboratories; 보험협회 시험소) 인증을 획득했다. LS일렉트릭은 지난 4일 안양 글로벌 R&D 캠퍼스에서 서장철 LS일렉트릭 전력 연구개발 본부장 겸 최고기술책임자(CTO), 웨슬리 궉(Wesley Kwok) UL 솔루션즈(UL Solutions) 신재생에너지 및 산업 자동화(EIA; Energy & Industrial
가천대학교, 지능형 홈케어 기반구축사업 성과보고 및 컨퍼런스 개최
가천대학교 기반구축사업단(단장 이은석)은 10월 31일(금) 인천 라마다 송도호텔에서 ‘가천대학교 기반구축사업단 2025년 사업 성과보고&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가천대학교 지능형 홈케어 기반구축사업단 이은석 교수팀이 주도해 진행했으며, 가천대학교 교내 관계자와 정부 및 지자체, 공동연구기관, 병원, 산업체, 외부 대학, 그리고 스마트홈 서비스 사용자 등 총 16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지능형 홈케어 기술의 발전 방향과 서비스 실증 확산을 위한 협력 방안을 함께 논의하며 행사의 의미를 더했다. 또한 가천대학교 메디
김행선 시인, 2025년 남양주 북한강문학제에서 제15회 북한강문학상 본상 수상
지난 11월 1일(토) 오후 1시부터 오후 4시까지 경기 남양주 북한강야외공연장에서 ‘제15회 북한강문학제’가 개최됐다. 이번 행사는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소속 예술인들을 대상으로 한 엄격한 심사를 거쳐 선정된 북한강문학상 수상자들을 격려하고, 문학과 사진이 어우러진 예술의 장을 열었다. 오픈식에서 소프라노 정애화 가수의 공연을 시작으로 행사의 문을 열었다. 제15회 북한강문학상 본상은 김행선(서울) 시인이 수상했다. 수상자 김행선 시인은 한국예술인복지재단 등록 작가며, 문예지에 1년 이상 작품을 발표하거나 시집을 출간한 실적을 기준으
SK그룹이 엔비디아(NVIDIA)와 손잡고 국내 제조업의 AI(인공지능) 혁신을 본격화한다.
31일 SK텔레콤은 경북 경주시에서 열린 APEC CEO 서밋에서 엔비디아의 GPU(그래픽처리장치)와 제조 AI 플랫폼 ‘옴니버스(Omniverse)’를 기반으로 한 ‘제조 AI 클라우드’ 구축 계획을 발표했다.
SK그룹
이번 협력은 아시아 최초로 엔비디아 옴니버스 플랫폼을 활용해 제조 AI 클라우드를 상용화하는 사례로, SK하이닉스를 비롯한 그룹 제조 계열사뿐 아니라 정부, 공공기관, 국내 스타트업에도 개방된다. 이를 통해 국내 제조업 전반이 AI 기반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제조 AI 클라우드’는 제조 공정을 디지털 트윈(가상 복제) 형태로 3차원 시뮬레이션하는 엔비디아 옴니버스 기술을 핵심 기반으로 한다. 가상공간에서 설비 이상을 예측하고 공정 효율을 최적화함으로써 수율을 높이고 유지보수 비용을 줄이는 것이 목표다. SK텔레콤은 클라우드 구축부터 운영까지 맡아, 국내 데이터센터 기반의 고성능·보안형 제조 AI 인프라를 제공한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SK하이닉스 이천캠퍼스와 용인반도체클러스터가 시범 적용 대상이며, 최신 GPU ‘RTX 프로™ 6000 블랙웰 서버 에디션’ 2,000여 장이 투입된다. 엔비디아는 GPU 공급뿐 아니라 AI 모델 개발, 시뮬레이션 최적화, 클라우드 자동화 등 전 단계에서 기술 협력에 나선다.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이날 APEC CEO 서밋에서 만나 ‘제조 AI 스타트업 얼라이언스(Physical AI Startup Alliance)’ 협력 방안과 반도체·AI 생태계 발전 방향을 논의했다. 양측은 IMM인베스트먼트, 한국투자파트너스, SBVA 등 주요 벤처캐피털과 함께 제조 분야 AI 스타트업을 공동 육성할 계획이다.
최태원 회장은 “SK그룹은 엔비디아와 함께 AI를 국내 산업 혁신의 핵심 엔진으로 삼고 있다”며 “AI 팩토리를 기반으로 차세대 메모리, 로보틱스, 디지털 트윈, 지능형 AI 에이전트 등 미래 산업 인프라를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젠슨 황 CEO는 “AI 시대에는 새로운 형태의 ‘AI 팩토리’가 제조업을 재정의하고 있다”며 “SK는 엔비디아의 핵심 메모리 파트너로, 전 세계 AI 발전을 이끄는 GPU 컴퓨팅 생태계의 중심에 있다”고 강조했다.
SK그룹은 이번 제조 AI 클라우드 구축을 포함해 5만 장 규모의 GPU 인프라를 갖춘 **‘AI 팩토리’**를 국내에 조성하고, 울산에 100MW급 하이퍼스케일 AI 데이터센터를 건설 중이다. 이 시설은 2027년 완공을 목표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AI 거점으로 육성될 예정이다.
한편 SK텔레콤은 이날 엔비디아, 삼성전자, 연세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과 함께 **‘AI-RAN(무선접속네트워크)’ 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AI-RAN은 6세대(6G) 이동통신의 핵심 기술로, 무선망에서 생성된 AI 데이터를 초저지연으로 전송해 로봇, 드론, 스마트공장 등 피지컬 AI 서비스 구현을 지원한다.
SK텔레콤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원 아래 AI-RAN R&D 및 실증망 구축을 주도하며, 향후 AI-RAN에 특화된 신규 AI 서비스 개발에도 나설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