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일렉트릭, ESS용 PCS 미국 ‘UL 인증’ 획득
LS일렉트릭이 ESS(에너지저장장치) 핵심 구성요소인 PCS(전력변환장치; Power Conversion System)[1] 최신 제품에 대해 미국 수출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UL(Underwriters Laboratories; 보험협회 시험소) 인증을 획득했다. LS일렉트릭은 지난 4일 안양 글로벌 R&D 캠퍼스에서 서장철 LS일렉트릭 전력 연구개발 본부장 겸 최고기술책임자(CTO), 웨슬리 궉(Wesley Kwok) UL 솔루션즈(UL Solutions) 신재생에너지 및 산업 자동화(EIA; Energy & Industrial
가천대학교, 지능형 홈케어 기반구축사업 성과보고 및 컨퍼런스 개최
가천대학교 기반구축사업단(단장 이은석)은 10월 31일(금) 인천 라마다 송도호텔에서 ‘가천대학교 기반구축사업단 2025년 사업 성과보고&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가천대학교 지능형 홈케어 기반구축사업단 이은석 교수팀이 주도해 진행했으며, 가천대학교 교내 관계자와 정부 및 지자체, 공동연구기관, 병원, 산업체, 외부 대학, 그리고 스마트홈 서비스 사용자 등 총 16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지능형 홈케어 기술의 발전 방향과 서비스 실증 확산을 위한 협력 방안을 함께 논의하며 행사의 의미를 더했다. 또한 가천대학교 메디
김행선 시인, 2025년 남양주 북한강문학제에서 제15회 북한강문학상 본상 수상
지난 11월 1일(토) 오후 1시부터 오후 4시까지 경기 남양주 북한강야외공연장에서 ‘제15회 북한강문학제’가 개최됐다. 이번 행사는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소속 예술인들을 대상으로 한 엄격한 심사를 거쳐 선정된 북한강문학상 수상자들을 격려하고, 문학과 사진이 어우러진 예술의 장을 열었다. 오픈식에서 소프라노 정애화 가수의 공연을 시작으로 행사의 문을 열었다. 제15회 북한강문학상 본상은 김행선(서울) 시인이 수상했다. 수상자 김행선 시인은 한국예술인복지재단 등록 작가며, 문예지에 1년 이상 작품을 발표하거나 시집을 출간한 실적을 기준으
LG화학이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11조 1,962억 원, 영업이익 6,797억 원의 경영실적을 거뒀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3%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38.9% 증가하며 수익성이 크게 개선됐다.
LG화학
LG화학은 31일 실적 발표를 통해 “석유화학 부문의 흑자 전환, 생명과학 라이선스아웃 선급금 수취, LG에너지솔루션의 실적 개선 등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의 성장과 전 밸류체인에 걸친 비용 절감 활동이 수익 개선을 이끌었다”고 밝혔다.
차동석 LG화학 최고재무책임자(CFO) 사장은 “3분기는 전 사업부의 체질 개선이 본격화된 시기”라며 “글로벌 수요 부진 속에서도 고부가·고수익 중심의 사업 포트폴리오 전환을 가속화하고, 미래 신사업 발굴과 운영 효율화를 통해 어려운 시기를 극복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사업 부문별로 보면, 석유화학부문은 매출 4조 4,609억 원, 영업이익 291억 원을 기록했다. 미국 관세 영향과 전방산업 수요 둔화로 매출이 감소했으나, 원료가 하락에 따른 스프레드 개선과 비용 절감 노력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다만 4분기에는 수요 부진과 대산공장 정기보수에 따른 기회손실이 예상된다.
첨단소재부문은 매출 8,382억 원, 영업이익 73억 원을 기록했다. 미국 전기차 구매 보조금 종료로 전지재료 출하가 줄었으나, 전자소재와 엔지니어링소재의 고부가 제품 매출이 견조하게 유지됐다. 4분기는 전지재료 고객사의 연말 재고 조정과 전자소재 비수기 영향으로 매출 감소가 전망된다.
생명과학부문은 매출 3,746억 원, 영업이익 1,006억 원을 달성했다. 희귀 비만치료제 라이선스아웃 잔여 계약금 수취로 실적이 개선됐지만, 4분기에는 일회성 수익의 기저효과와 연구개발(R&D) 비용 증가로 수익성이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
주요 자회사인 LG에너지솔루션은 매출 5조 6,998억 원, 영업이익 6,013억 원을 기록했다. 미국 전기차 구매 보조금 종료 등 수요 약세가 이어졌지만, 북미 ESS(에너지저장장치) 및 소형전지 신제품 출하 확대와 비용 절감으로 손익이 개선됐다. 4분기에는 북미 전기차 수요 둔화와 유럽 내 가격 경쟁이 지속될 것으로 보이나, 신규 제품 라인업을 바탕으로 수주 확보와 북미 시장 대응에 주력할 방침이다.
자회사 팜한농은 매출 1,015억 원, 영업손실 200억 원을 기록했다. 해외 고객의 재고 조정으로 매출이 감소했으나, 4분기에는 국내외 작물보호제 판매 확대로 매출 및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