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훈공단, 지역 취약계층 아동·청소년과 탄소중립체험 나서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이사장 윤종진, 이하 보훈공단)은 지난 10월 31일(금) 원주시 기후변화 홍보관에서 지역 취약계층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탄소중립 문화체험 행사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체험 행사는 취약계층 아동·청소년들에게 환경을 생각하는 문화체험 기회를 확대하고, 탄소중립 실천과 환경보호의 중요성을 전달하기 위해 마련됐다. 보훈공단은 이번 행사를 통해 원주시 취약계층 아동 및 청소년들 20여 명과 △기후변화 홍보관 전시 관람 △미디어 프로그램 △4D 영상 시청 등 탄소중립체험을 실시하고, 참여자들에게 학업 도움이 될 수
IBK기업은행, 해군·해병대 간부 특화 카드 BOC 출시
IBK기업은행(은행장 김성태)은 지난 3일 해군·해병대 간부 특화 카드 ‘BOC(福) 카드(Blue Ocean navy&marine Card)’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대상은 해군·해병대 장교, 부사관, 군무원이다. ‘BOC(福) 카드’는 해군·해병대 복지시설과 군 관사 관리비 결제 시 3%, KTX·주유 7%, 통신비 10% 등 할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훈련 등으로 장기간 카드 이용이 어려운 군 간부를 위해 사전 등록 시 최장 3개월 동안 실적과 무관하게 할인 혜택을 준다. 특히 기업은행은 지역 상권 활성화를 위해 평택, 화성
예스24, 제복근무자 위한 ‘특별 팝업 전시’ 개최… 감사 편지 이벤트 실시
문화콘텐츠 플랫폼 예스24가 국가보훈부와 함께 ‘마이 히어로북’ 캠페인을 전개하고, 도서 기부를 연계한 감사 편지 이벤트와 오프라인 팝업 전시를 실시한다. 제복근무자들의 이야기를 담은 동화책 ‘마이 히어로북’은 예스24 전국 6개 오프라인 서점에서 만나볼 수 있으며, 신간서점 ‘강서NC점’과 중고서점 ‘수영점F1963’에서는 11월 한 달간 특별 팝업 전시가 개최된다. 예스24는 보다 많은 시민들이 제복근무자들의 이야기를 접할 수 있도록 제복근무자별 대표 도서 5권을 무료 전자책(eBook)으로도 제공할 예정이다. 더불어 제복근무자
교육부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은 학교 현장에서 저작권 부담 없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학교 안심폰트’ 21서체 21종을 새로 보급한다고 밝혔다. 이번 추가 보급으로 학교 안심폰트는 총 65서체 88종으로 확대돼, 전국 학교에서 교육자료와 안내문을 제작할 때 저작권 걱정 없이 폭넓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교육부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은 학교 현장에서 저작권 부담 없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학교 안심폰트` 21서체 21종을 새로 보급한다.
교육부(장관 최교진)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원장 정제영)은 올해 신규로 보급하는 학교 안심폰트 21서체 21종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학교 안심폰트는 교육 현장에서 저작권 분쟁이나 사용 제한 없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글꼴로, 이용 목적이나 대상에 제약이 없다.
두 기관은 2022년부터 매년 공모를 통해 국내 전문기업이 개발한 서체 중 학교 수요가 높은 글꼴을 선별해 보급하고 있다. 지난 3년간 44서체 67종이 배포된 데 이어 이번에 21종이 추가되면 총 65서체 88종의 ‘학교 안심폰트’가 현장에 제공된다.
새롭게 보급되는 서체들은 교내외 다양한 문서 제작에 활용할 수 있는 디자인 중심 서체들로 구성됐다. 학교에서는 이를 활용해 수업자료, 가정통신문, 학급 소식지, 교내 행사 안내문 등 각종 교육자료를 보다 창의적이고 일관된 디자인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된다.
학교 안심폰트는 교육저작권지원센터 누리집에서 누구나 무료로 내려받을 수 있다. 또한 누리집에서는 학교 안심폰트를 활용한 ‘학교안심 템플릿’도 함께 제공하고 있다. 템플릿은 PPT 12종, 포스터 7종으로 구성돼 있으며, 교사들이 손쉽게 안내문이나 게시자료를 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교육부는 이번 보급이 학교 현장의 저작권 인식 개선과 창의적 콘텐츠 제작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최교진 교육부 장관은 “학교 안심폰트를 적극 활용해 저작권 걱정 없이 다양한 교육자료가 만들어지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교육 현장에서 안전하고 자유롭게 저작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향후 학교 안심폰트의 보급을 확대하고, 교육용 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이미지·영상 등 저작물의 자유 이용을 위한 지원 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