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일렉트릭, ESS용 PCS 미국 ‘UL 인증’ 획득
LS일렉트릭이 ESS(에너지저장장치) 핵심 구성요소인 PCS(전력변환장치; Power Conversion System)[1] 최신 제품에 대해 미국 수출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UL(Underwriters Laboratories; 보험협회 시험소) 인증을 획득했다. LS일렉트릭은 지난 4일 안양 글로벌 R&D 캠퍼스에서 서장철 LS일렉트릭 전력 연구개발 본부장 겸 최고기술책임자(CTO), 웨슬리 궉(Wesley Kwok) UL 솔루션즈(UL Solutions) 신재생에너지 및 산업 자동화(EIA; Energy & Industrial
가천대학교, 지능형 홈케어 기반구축사업 성과보고 및 컨퍼런스 개최
가천대학교 기반구축사업단(단장 이은석)은 10월 31일(금) 인천 라마다 송도호텔에서 ‘가천대학교 기반구축사업단 2025년 사업 성과보고&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가천대학교 지능형 홈케어 기반구축사업단 이은석 교수팀이 주도해 진행했으며, 가천대학교 교내 관계자와 정부 및 지자체, 공동연구기관, 병원, 산업체, 외부 대학, 그리고 스마트홈 서비스 사용자 등 총 16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지능형 홈케어 기술의 발전 방향과 서비스 실증 확산을 위한 협력 방안을 함께 논의하며 행사의 의미를 더했다. 또한 가천대학교 메디
김행선 시인, 2025년 남양주 북한강문학제에서 제15회 북한강문학상 본상 수상
지난 11월 1일(토) 오후 1시부터 오후 4시까지 경기 남양주 북한강야외공연장에서 ‘제15회 북한강문학제’가 개최됐다. 이번 행사는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소속 예술인들을 대상으로 한 엄격한 심사를 거쳐 선정된 북한강문학상 수상자들을 격려하고, 문학과 사진이 어우러진 예술의 장을 열었다. 오픈식에서 소프라노 정애화 가수의 공연을 시작으로 행사의 문을 열었다. 제15회 북한강문학상 본상은 김행선(서울) 시인이 수상했다. 수상자 김행선 시인은 한국예술인복지재단 등록 작가며, 문예지에 1년 이상 작품을 발표하거나 시집을 출간한 실적을 기준으
올해 3분기 우리나라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전기 대비 1.2% 성장하며 6분기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기획재정부는 28일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에서 반도체 · 자동차 등 수출 증가와 내수 활성화, 설비투자 확대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새 정부의 첫 경제성적표가 긍정적인 흐름을 보였다고 밝혔다.
기획재정부는 28일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에서 반도체·자동차 등 수출 증가와 내수 활성화, 설비투자 확대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새 정부의 첫 경제성적표가 긍정적인 흐름을 보였다고 밝혔다.
이번 3분기 경제성장률은 지난해 2분기부터 이어진 장기 침체 국면을 벗어났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그동안 우리 경제는 4분기 연속 0% 내외의 정체 국면을 보였고, 특히 올해 1분기에는 계엄 여파로 민간 소비심리가 급격히 위축되며 -0.2% 역성장을 기록했었다.
2분기에는 새 정부 출범 이후 심리 회복이 반영되며 0.7% 성장으로 전환했지만 상반기 전체로는 0.3% 성장에 그쳤다. 그러나 3분기에는 민간소비, 수출, 설비투자 등이 고르게 개선되며 경기 회복세가 본격화했다.
기재부는 “민간이 성장을 주도하는 구조로 전환된 것이 이번 분기 성장의 핵심 요인”이라며 “수출 선방과 내수 회복이 맞물리면서 재정의 마중물 효과가 민간 투자로 이어졌다”고 평가했다.
민간소비는 소비쿠폰 지급과 추경, 증시 호황 등으로 1.3% 증가하며 3년 만에 최대 폭으로 확대됐다. 소비심리지수는 6개월 연속 장기평균(100)을 웃돌며 3년 5개월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업황 개선에 따른 기계류 중심의 회복세가 뚜렷했다. 전분기 대비 2.4% 증가하며 플러스 전환에 성공했고, 정부는 이를 “향후 성장잠재력 확대의 긍정 신호”로 해석했다.
건설투자는 -0.1%로 소폭 감소했지만, 작년 수주 실적 개선에 힘입어 감소 폭이 크게 축소됐다. 수출은 미국의 관세 부과에도 불구하고 1.5% 증가하며 예상보다 양호한 흐름을 보였다. 특히 반도체 분야는 AI 투자 확대로 HBM 등 고성능 제품 수요가 견조했고, 기존 서버 교체 수요가 늘며 범용 반도체도 강세를 유지했다.
수입은 기계 및 자동차 중심으로 1.3% 증가했는데, 이는 내수 회복에 따른 수요 확대로 해석됐다. 정부는 향후 성장세가 이어질 수 있도록 내수 활성화와 성장잠재력 확충 정책을 병행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기재부는 ‘AI 대전환·초혁신경제 선도프로젝트’와 ‘생산적 금융’ 등 중장기 성장 전략을 통해 민간 주도의 구조적 성장을 뒷받침하겠다는 구상을 내놨다.
한편, 최근 코스피지수가 사상 처음으로 4000선을 돌파한 것도 경제 회복의 흐름과 맞물린다. 기재부는 “상법 개정, 불공정거래 원스트라이크 아웃 등 새 정부의 자본시장 신뢰 강화 정책이 주효했다”고 평가했다.
국내 증시는 6월 이후 외국인 투자자들의 순매수(약 20조 원)가 지속되며 9월 이후에도 12조 3000억 원 이상 추가로 유입됐다. 10월 27일 기준 코스피 주가순자산비율(PBR)은 1.3배, 주가수익비율(PER)은 18.4배로 여전히 주요국보다 낮은 수준이다.
모건스탠리, JP모건 등 글로벌 투자은행들은 “한국 증시의 밸류에이션 매력이 여전하다”며 목표주가 상향 및 ‘저점 매수 전략’을 제시했다. 외국인 지분율(34.9%)도 장기평균(35.0%)을 밑돌아 추가 자금 유입 여력도 충분한 것으로 평가됐다.
정부는 반도체 슈퍼사이클 지속 등으로 기업 실적이 개선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고, 시중자금이 부동산에서 자본시장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해 ‘코스피 5000 시대’를 실현하겠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