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일렉트릭, ESS용 PCS 미국 ‘UL 인증’ 획득
LS일렉트릭이 ESS(에너지저장장치) 핵심 구성요소인 PCS(전력변환장치; Power Conversion System)[1] 최신 제품에 대해 미국 수출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UL(Underwriters Laboratories; 보험협회 시험소) 인증을 획득했다. LS일렉트릭은 지난 4일 안양 글로벌 R&D 캠퍼스에서 서장철 LS일렉트릭 전력 연구개발 본부장 겸 최고기술책임자(CTO), 웨슬리 궉(Wesley Kwok) UL 솔루션즈(UL Solutions) 신재생에너지 및 산업 자동화(EIA; Energy & Industrial
가천대학교, 지능형 홈케어 기반구축사업 성과보고 및 컨퍼런스 개최
가천대학교 기반구축사업단(단장 이은석)은 10월 31일(금) 인천 라마다 송도호텔에서 ‘가천대학교 기반구축사업단 2025년 사업 성과보고&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가천대학교 지능형 홈케어 기반구축사업단 이은석 교수팀이 주도해 진행했으며, 가천대학교 교내 관계자와 정부 및 지자체, 공동연구기관, 병원, 산업체, 외부 대학, 그리고 스마트홈 서비스 사용자 등 총 16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지능형 홈케어 기술의 발전 방향과 서비스 실증 확산을 위한 협력 방안을 함께 논의하며 행사의 의미를 더했다. 또한 가천대학교 메디
김행선 시인, 2025년 남양주 북한강문학제에서 제15회 북한강문학상 본상 수상
지난 11월 1일(토) 오후 1시부터 오후 4시까지 경기 남양주 북한강야외공연장에서 ‘제15회 북한강문학제’가 개최됐다. 이번 행사는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소속 예술인들을 대상으로 한 엄격한 심사를 거쳐 선정된 북한강문학상 수상자들을 격려하고, 문학과 사진이 어우러진 예술의 장을 열었다. 오픈식에서 소프라노 정애화 가수의 공연을 시작으로 행사의 문을 열었다. 제15회 북한강문학상 본상은 김행선(서울) 시인이 수상했다. 수상자 김행선 시인은 한국예술인복지재단 등록 작가며, 문예지에 1년 이상 작품을 발표하거나 시집을 출간한 실적을 기준으
LG전자가 24일 서울 서초R&D캠퍼스에서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과 함께 ‘Future 2030 서밋’을 열고 6G, 인공지능(AI), 양자, 우주산업 등 미래 핵심 기술 분야의 산·학·연 협력 강화를 통한 기술 주도권 선점 방안을 논의했다.
LG전자가 24일 LG전자 서초R&D캠퍼스에서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국표준과학원(KRISS)와 함께 개최한 `Future 2030 서밋`에서 LG전자 CTO 김병훈 부사장이 환영사를 하고 있다.
LG전자는 이번 행사를 통해 그동안 진행해 온 ‘6G 그랜드 서밋’을 확장해 6G뿐 아니라 피지컬 AI, 양자 기술, 우주산업 기술 등으로 주제를 넓혔다. 이는 급변하는 글로벌 기술 환경 속에서 LG전자가 장기 비전인 ‘Future 2030’을 중심으로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이날 행사에는 김병훈 LG전자 CTO 부사장, 이광형 KAIST 총장, 박연규 KRISS 부원장, 박인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 등이 참석해 환영사와 축사를 전했다.
또한 조동호·홍성철 KAIST 교수, 허준 고려대 교수, 김동구 연세대 교수, 한상욱 한국양자정보학회장 등 학계 전문가와 항공우주청·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관계자들이 함께 기술 발표와 시연에 참여했다.
기조연설에서는 장영재 KAIST 교수와 일본산업기술종합연구소(AIST)의 마사히로 호리베 박사가 각각 ‘피지컬 AI를 통한 제조 생태계 혁신’과 ‘일본의 퀀텀 전략 및 생태계 구축’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24일 진행한 `Future 2030 서밋`에서 LG전자의 P5G 통신 기술을 활용해 스마트팩토리에서 활용하는 무인 지게차 로봇 제어 시연을 진행하고 있다. 행사장에서는 LG전자의 ▲6G 전이동통신(FDR·Full Duplex Radio) 솔루션 ▲P5G 통신 기반 스마트팩토리 무인 지게차 로봇 제어 ▲비지상통신망(NTN)을 활용한 차세대 음성통신 솔루션 등이 시연돼 큰 관심을 끌었다. KAIST와 KRISS는 AI 반도체 기반 로봇, 6G 전파 측정 시스템, 양자 컴퓨팅 소재 SW 솔루션 등 다양한 연구성과를 전시했다.
LG전자는 2019년 국내 최초로 ‘LG전자-KAIST 6G 연구센터’를 설립한 이후, 대학·연구기관과의 협력 네트워크를 통해 6G 원천기술 확보에 힘써왔다. 이를 기반으로 AI 홈, 모빌리티, 스마트팩토리 등 신사업 분야에 6G 기술을 접목해 차세대 서비스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LG AI연구원과 KIST 등과 협력 중인 휴머노이드 로봇 R&D 성과를 바탕으로 자율주행차, 로봇 등 피지컬 AI 기술 개발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내년에는 누리호 5차 발사에 통신 모듈용 안테나를 탑재하며 우주산업 분야 기술력과 사업 기회를 동시에 넓힌다.
김병훈 부사장은 “산·학·연 파트너와의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6G, AI, 양자, 우주산업 등 미래 핵심 기술 분야에서 리더십을 공고히 해 나갈 것”이라며 “기술 혁신을 통해 LG전자의 글로벌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