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국민의힘 "민주당, 추경 논의 전에 감액예산안 폭거부터 사죄해야"
  • 김종화 기자
  • 등록 2025-02-03 12:28:13

기사수정
  • 신동욱 "이재명, 대인배 코스프레…추경 논의할 자격 없어"
  • "민생예산 대폭 삭감하고 방탄 예산 밀어붙인 민주당"
  • "여야 협치 무시한 입법폭주…이재명 약속은 허언과 궤변"

국민의힘 신동욱 수석대변인은 3일 논평을 통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추가경정예산(추경) 요구를 강하게 비판하며, 민주당이 추경을 논의하기 전에 감액예산안 강행 처리에 대해 국민께 사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민의힘 신동욱 수석대변인

신 대변인은 "국민의힘은 이미 2025년 예산안 협상 과정에서 AI(인공지능)와 경제 활성화 관련 예산 증액을 선제적으로 제안한 바 있다"며, 이 대표의 추경 요구가 앞뒤가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또한 "민생과 밀접한 예산은 대폭 삭감하면서, `이재명 방탄용` 예산을 밀어붙였던 장본인이 이제 와서 `대인배 코스프레`를 하고 있다"며, "실용주의를 주장하며 우클릭하는 이 대표의 모습에 국민들은 어리둥절하기만 하다"고 비꼬았다.

 

특히, "이재명 대표가 8개 사건·12개 혐의로 5개 재판을 받는 `피고인`이라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며, "권력과 표를 위해 철학과 정체성마저 수시로 바꿀 수 있느냐"고 강하게 비판했다.

 

신 대변인은 민주당이 지난해 12월 여당과 민간, 시장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감액예산안을 단독 강행 처리했다며, "여야 협의를 무시한 입법폭주를 멈추지 않는다면, 이 대표가 외치는 약속은 허언과 궤변에 불과하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그는 "민주당이 진정으로 민생을 위한다면, 감액예산안 강행 처리에 대해 사죄하고 여야정 협의체 복귀부터 선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시원한 나무 그늘 속 한걸음…도심 속 천연 여름쉼터 ‘도시숲 10선’ 산림청이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된 7월을 맞아 시민들이 시원하게 산책하며 더위를 식힐 수 있는 ‘산책하기 좋은 도시숲 10선’을 1일 발표했다.도시숲은 여름철 한낮 평균기온보다 3~7℃ 낮은 ‘천연 그늘 쉼터’로 기능한다. 나무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수분을 방출하며 열기를 식히는 역할을 하며, 기후변화 시대에 도심 ...
  2. 소방청, 전기차 화재 대응 가이드 개정…과학적 대응체계 강화 소방청 국립소방연구원은 7월 2일, 전기차 화재에 보다 정밀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전기차 화재 대응 가이드 개정판」을 발간하고 전국 소방관서에 보급한다고 밝혔다.이번 개정판은 2023년 3월 발간된 초판 이후, 현장 대응성과 과학적 정확성을 한층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됐다. 전기차 보급이 급증하면서 화재 양상도 다양..
  3. 서울 지하철 부정승차 연간 26억 원…“명백한 범죄행위입니다” 서울 지하철에서 무임 승차나 타인 명의 교통카드 사용 등 ‘부정승차’가 해마다 수만 건씩 적발되며 사회적 문제로 떠오른 가운데, 서울교통공사가 단속 강화와 함께 형사·민사상 책임을 끝까지 묻겠다는 방침을 재차 밝혔다.서울교통공사는 2022년부터 2024년까지 3년간 부정승차 단속 건수가 연평균 5만 6천여 건, 단속 금액은 .
  4. “무단 주차에 사고 위험까지”…전동킥보드 민원 급증, 권익위 ‘민원주의보’ 발령 전동킥보드와 같은 개인형 이동장치(PM, Personal Mobility)와 관련된 민원이 해마다 급증하면서 국민권익위원회가 ‘민원주의보’를 발령하고 관계기관에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국민권익위는 30일, 2022년 6월부터 2025년 5월까지 3년간 민원정보분석시스템에 수집된 개인형 이동장치 관련 민원 27,423건을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분석에 따...
  5.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63%로 상승…"경제·민생 정책" 호평 한국갤럽이 7월 8일부터 10일까지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직무수행 긍정평가가 63%를 기록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는 부정평가 23%보다 40%포인트 높은 수치로, 응답자들은 긍정평가 이유로 `경제·민생 정책`(15%)과 `추진력·속도감`(13%)을 가장 많이 꼽았다.한국갤럽이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00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