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천대학교, 지능형 홈케어 기반구축사업 성과보고 및 컨퍼런스 개최
가천대학교 기반구축사업단(단장 이은석)은 10월 31일(금) 인천 라마다 송도호텔에서 ‘가천대학교 기반구축사업단 2025년 사업 성과보고&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가천대학교 지능형 홈케어 기반구축사업단 이은석 교수팀이 주도해 진행했으며, 가천대학교 교내 관계자와 정부 및 지자체, 공동연구기관, 병원, 산업체, 외부 대학, 그리고 스마트홈 서비스 사용자 등 총 16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지능형 홈케어 기술의 발전 방향과 서비스 실증 확산을 위한 협력 방안을 함께 논의하며 행사의 의미를 더했다. 또한 가천대학교 메디
김행선 시인, 2025년 남양주 북한강문학제에서 제15회 북한강문학상 본상 수상
지난 11월 1일(토) 오후 1시부터 오후 4시까지 경기 남양주 북한강야외공연장에서 ‘제15회 북한강문학제’가 개최됐다. 이번 행사는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소속 예술인들을 대상으로 한 엄격한 심사를 거쳐 선정된 북한강문학상 수상자들을 격려하고, 문학과 사진이 어우러진 예술의 장을 열었다. 오픈식에서 소프라노 정애화 가수의 공연을 시작으로 행사의 문을 열었다. 제15회 북한강문학상 본상은 김행선(서울) 시인이 수상했다. 수상자 김행선 시인은 한국예술인복지재단 등록 작가며, 문예지에 1년 이상 작품을 발표하거나 시집을 출간한 실적을 기준으
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은 세계기상기구(WMO)와 공동으로 9월 22일부터 26일까지 제주에서 ‘기상·기후 인공지능(AI) 글로벌 테크 포럼’을 열고, 기후위기 시대 대응을 위한 초단기 기상예측 기술 발전 방향을 논의한다.
기상청
이번 포럼에는 대한민국을 비롯해 중국, 태국, 필리핀, 사우디아라비아, 가나 등 10여 개국 공공 전문가와 마이크로소프트·엔비디아·구글 등 글로벌 기업, 미국 국립대기연구센터(NCAR), 유럽중기예보센터(ECMWF), 한국과학기술원 등 학계 전문가까지 70여 명이 참여한다.
행사 첫날부터 이틀간은 기상·기후 분야 ‘파운데이션 모델’ 세미나가 진행돼 최신 연구 성과와 전망을 공유한다. 이어 대학생 4개 팀이 지난 8월 해커톤에서 개발한 위성영상 기반 초단기예보 AI 모델을 발표하고, 전문가 평가를 거쳐 우수팀이 선정된다.
또한 24일부터는 WMO 인공지능 초단기예측 시범 사업(AINPP) 워크숍이 열려 각국과 민간기업이 개발한 AI 예측 모델의 성과를 발표하고 상호 검증한다. 아울러 연구 성과의 현업 적용, 개발도상국 기술 도입 지원 방안 등도 집중 논의될 예정이다. 이는 유엔이 추진하는 ‘모두를 위한 조기경보(Early Warnings for All, EW4ALL)’ 구상과 맞닿아 있어 국제 협력의 구심점 역할이 기대된다.
기상청은 올해 2월부터 인공지능 모델을 실제 초단기 예보에 적용해 왔으며, 이번 포럼에서 그간의 성과를 국제사회와 공유한다. 박영연 국립기상과학원장은 “AI 모델을 국제무대에서 평가받는 것은 미래 세대 전문가 양성에도 큰 의미가 있다”며 “AI는 국민 안전을 지키는 핵심 도구이자, 개발도상국의 기후위기 대응을 돕는 국제사회의 책무와도 연결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나라가 선도하는 AI 기반 초단기예보 기술을 국제사회와 공유하고 확산함으로써 국가 기후적응 역량을 강화하고, 기후위기 시대 조기경보체계 구축에 기여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