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AI 서밋, 3만5000명 호응 속에 ‘글로벌 AI 플랫폼’ 발돋움
SK그룹의 국내 대표 인공지능(AI) 행사 ‘SK AI Summit(서밋) 2025’가 4일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지난해 규모 면에서 ‘대한민국 대표 AI 행사’로 자리매김한 서밋은 올해 더 다양한 국적의 기업과 전문가들이 대거 참여하는 ‘글로벌 AI 플랫폼’으로 진화했다. 이번 서밋은 ‘AI Now & Next’를 주제로 AI의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를 조망했다. 3일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기조연설을 시작으로 벤 만(Ben Mann) 앤트로픽(Anthropic) 공동 창업자, 팀 코스타(Tim Costa) 엔비디아(NVIDIA)
김행선 시인, 2025년 남양주 북한강문학제에서 제15회 북한강문학상 본상 수상
지난 11월 1일(토) 오후 1시부터 오후 4시까지 경기 남양주 북한강야외공연장에서 ‘제15회 북한강문학제’가 개최됐다. 이번 행사는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소속 예술인들을 대상으로 한 엄격한 심사를 거쳐 선정된 북한강문학상 수상자들을 격려하고, 문학과 사진이 어우러진 예술의 장을 열었다. 오픈식에서 소프라노 정애화 가수의 공연을 시작으로 행사의 문을 열었다. 제15회 북한강문학상 본상은 김행선(서울) 시인이 수상했다. 수상자 김행선 시인은 한국예술인복지재단 등록 작가며, 문예지에 1년 이상 작품을 발표하거나 시집을 출간한 실적을 기준으
소방청이 극심한 가뭄으로 생활용수 공급에 차질을 빚고 있는 강릉 지역에서 급수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소방차 긴급정비지원단’을 본격 가동했다. 국가소방동원령에 따라 전국에서 집결한 소방차량의 안정적 운용을 민·관 합동 정비 체계로 지원하며 국민 생활 안정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소방청 주관 민 · 관 합동`긴급정비지원단`활동 사진(강릉)
강릉시는 지난달 말 ‘재난사태’가 선포될 정도로 심각한 가뭄 피해를 겪고 있다.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은 8월 말 14.9%에서 9월 6일 12.7%로 떨어졌으며, 10% 이하로 내려갈 경우 생활용수 공급 중단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에 소방청은 전국에서 물탱크차와 소방펌프차 등 70대를 투입하고 강원도 내 차량 31대를 더해 총 101대와 대원 202명을 동원해 연일 급수 지원을 이어가고 있다.
문제는 소방차량이 하루 12시간 이상 연속 가동되면서 엔진 경고등 점등, 펌프 누수, 브레이크 이상 등 잇따른 고장이 발생하고 있다는 점이다. 소방청은 급수 지원의 공백을 막기 위해 9월 8일부터 ‘긴급정비지원단’을 강릉 강북공설운동장에 설치하고 현장 지원에 나섰다.
이번 정비지원단은 소방청과 한국소방산업기술원, 현대자동차, 타타대우, 우리특장, 세보라이트 등 10개 주요 업체가 참여한 민·관 합동 체계로 운영된다. 정비팀은 차량 점검과 부품 공급을 현장에서 즉시 처리하는 ‘원스톱 정비 체계’를 가동하며, 요소수와 워셔액 등 소모품도 긴급 지원해 소방차량의 운행률을 극대화하고 있다.
정비지원단은 가동 사흘 만에 총 52대 차량을 점검하고 62건의 정비를 완료했다. 주요 조치 사항은 펌프 누수, 디젤미립자필터(DPF) 경고등, PTO 작동불량, 브레이크 이상 등으로, 현장 수리로 신속히 대응했다. 특히 현대자동차와 타타대우 등은 지역 정비센터와 핫라인을 구축해 긴급 수리 체계를 강화했다.
소방청은 지난 3월 경북 산불 대응 과정에서 긴급정비지원단을 처음 운영해 전국에서 동원된 530대 소방차 중 270대를 정비하며 효과를 입증한 바 있다. 이번 강릉 현장에서도 민간 기술력과 협력이 결합해 차량 운행률을 100%에 가깝게 유지, 단수로 인한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윤상기 소방청 장비기술국장은 “이번 강릉 가뭄 피해는 국민 생활과 직결된 중대한 상황”이라며 “민관 협력을 통해 소방력 공백 없이 급수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이어 “향후 소방장비관리법 개정을 통해 긴급정비지원단 운영을 제도화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며, 산불·집중호우·단수 등 각종 재난 상황 발생 시 즉시 투입해 현장 대응력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을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