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천대학교, 지능형 홈케어 기반구축사업 성과보고 및 컨퍼런스 개최
가천대학교 기반구축사업단(단장 이은석)은 10월 31일(금) 인천 라마다 송도호텔에서 ‘가천대학교 기반구축사업단 2025년 사업 성과보고&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가천대학교 지능형 홈케어 기반구축사업단 이은석 교수팀이 주도해 진행했으며, 가천대학교 교내 관계자와 정부 및 지자체, 공동연구기관, 병원, 산업체, 외부 대학, 그리고 스마트홈 서비스 사용자 등 총 16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지능형 홈케어 기술의 발전 방향과 서비스 실증 확산을 위한 협력 방안을 함께 논의하며 행사의 의미를 더했다. 또한 가천대학교 메디
김행선 시인, 2025년 남양주 북한강문학제에서 제15회 북한강문학상 본상 수상
지난 11월 1일(토) 오후 1시부터 오후 4시까지 경기 남양주 북한강야외공연장에서 ‘제15회 북한강문학제’가 개최됐다. 이번 행사는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소속 예술인들을 대상으로 한 엄격한 심사를 거쳐 선정된 북한강문학상 수상자들을 격려하고, 문학과 사진이 어우러진 예술의 장을 열었다. 오픈식에서 소프라노 정애화 가수의 공연을 시작으로 행사의 문을 열었다. 제15회 북한강문학상 본상은 김행선(서울) 시인이 수상했다. 수상자 김행선 시인은 한국예술인복지재단 등록 작가며, 문예지에 1년 이상 작품을 발표하거나 시집을 출간한 실적을 기준으
국토교통부가 9월 11일부터 청년과 신혼·신생아 가구를 대상으로 전국 16개 시도에서 매입임대주택 3,503호의 ’25년도 3차 입주자 모집을 진행하며, 신청자 자격 검증을 거쳐 이르면 올해 12월부터 순차 입주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 매입임대주택
이번 모집 물량은 청년 1,112호, 신혼·신생아 가구 2,391호 등 총 3,503호다. 지역별로는 서울 1,545호, 부산 438호, 전북 285호, 경남 188호, 강원 181호, 울산 145호 등으로 배정됐다. 모집 규모와 배정 지역은 매입·퇴거 물량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청년 매입임대는 무주택 미혼 청년을 대상으로 시세의 40~50% 수준 임대료로 최대 10년 거주가 가능하다. 소득은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100% 이하를 기본으로 하되, 순위별로 본인·부모 소득 반영 여부가 달라진다. 총자산과 자동차가액 등 자산 기준도 적용된다.
신혼·신생아 매입임대는 두 유형으로 공급한다. 유형Ⅰ은 시세 3040%, 유형Ⅱ는 시세 7080% 임대료로 책정된다. 소득 기준은 유형Ⅰ이 부부합산 70%(맞벌이 90%) 이하, 유형Ⅱ가 부부합산 130%(맞벌이 200%) 이하다. 신생아 가구는 1순위로 우선 공급하며, 혼인 7년 이내 신혼부부·예비 신혼부부와 만 6세 이하 자녀를 둔 한부모가족도 신청할 수 있다.
접수 채널과 일정도 구분된다. LH가 모집하는 청년 1,112호와 신혼·신생아 1,485호 등 2,597호는 9월 11일부터 LH 청약플러스에서 공고 확인 및 신청이 가능하다. 결과는 1112월 발표되며, 입주는 12월 중 시작된다.
서울시 전역 906호는 SH가 9월 26일 공고하고 10월 2123일 접수, 2026년 1월 21일 결과 발표 후 2~8월 입주를 진행한다. 세부 위치·면적·임대료는 기관별 공고문을 통해 확인하면 된다.
공급 유형과 지역별 세부 물량도 제시됐다. 예컨대 LH 청년형은 서울 400호, 부산 155호, 전북 212호 등으로 원룸·기숙사형이 중심이다.
신혼·신생아형은 서울 239호, 부산 283호, 강원 164호, 울산 128호 등으로 전용 50㎡ 이상과 85㎡ 이상이 혼합돼 공급된다.
실제 단지 사례로 서울 강동구 천호동 청년형 75호, 서울 은평구 녹번동 신혼·신생아Ⅰ 44호, 충남 천안시 불당로 신혼·신생아Ⅱ 30호 등이 포함됐다.
국토교통부 주거복지지원과 김도곤 과장은 `청년 신혼부부 등 젊은 세대들이 관심을 가지고 많은 지원을 해주기를 바라며 도심 내 좋은 입지에, 양질의 매입임대주택을 지속 공급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신청을 준비하는 가구는 본인·배우자 소득과 총자산, 자동차가액 등 자격요건을 사전에 점검하고, 우선공급 순위와 기관별 접수·발표·입주 일정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번 모집은 도심 내 장기 안정 거주에 대한 청년·신혼·돌봄가구의 수요에 대응하는 정책 공급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