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나경원 "딥시크 돌풍, 기술패권 넘어 정보 주권 위협... 전폭 지원 시급"
  • 김종화 기자
  • 등록 2025-01-30 20:42:16

기사수정
  • "중국 AI, 역사 왜곡 가능성... 대한민국 가치 지켜야"
  • "한국형 AI 혁신 모델로 기술 자립해야"
  • "주52시간 규제 개혁하고 초격차 기술 확보해야"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이 중국 인공지능(AI) ‘딥시크(DeepSeek)’ 돌풍을 분석하며, 한국형 AI 혁신 모델 구축과 정보 주권 보호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중국 AI가 대한민국의 역사와 가치까지 왜곡할 가능성이 있다며, 정부 차원의 전폭적 지원과 규제 개혁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

나 의원은 30일 페이스북을 통해 “딥시크 열풍의 배경에는 미국의 반도체 제재를 기회로 전환한 중국의 혁신 전략과 정부의 전폭적 지원이 자리하고 있다”며 “한국도 해외 기술과 장비에 의존하기보다 우리만의 효율적이고 혁신적인 AI 개발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중국은 제한된 자원과 비용으로도 고성능 AI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며 “이는 한국이 독자적인 AI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의 전략적 지원과 규제 개혁이 없다면 AI 산업 경쟁력은 뒤처질 수밖에 없다”며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을 주문했다.

 

나 의원은 특히 AI를 통한 정보 편향성과 역사 왜곡 가능성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 그는 “딥시크가 천안문 사태, 위구르, 홍콩, 대만 문제 등에서 편향된 정보를 제공한다는 지적이 많다”며 “AI 알고리즘이 특정 세계관을 주입해 디지털 공간 전체를 장악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대한민국 건국과 6.25전쟁에 대한 정보와 해석도 AI를 통해 왜곡될 가능성이 있다"며 "우리의 가치와 진실을 지켜낼 법·제도적 대응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나 의원은 AI 산업 발전을 위해 규제 개혁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연구자들이 자유롭게 연구할 수 있는 환경이 전제돼야 한다"며 "민주당이 반대하는 주52시간제 화이트칼라 이그젬션(white collar exemption·R&D 등 혁신 전문직 예외조항)을 반드시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나 의원은 끝으로 “기술 패권 경쟁에서 밀려나는 것은 단순한 경제 문제가 아니라 생존 문제”라며 “AI 산업을 국가 전략으로 삼고 초격차 기술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시원한 나무 그늘 속 한걸음…도심 속 천연 여름쉼터 ‘도시숲 10선’ 산림청이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된 7월을 맞아 시민들이 시원하게 산책하며 더위를 식힐 수 있는 ‘산책하기 좋은 도시숲 10선’을 1일 발표했다.도시숲은 여름철 한낮 평균기온보다 3~7℃ 낮은 ‘천연 그늘 쉼터’로 기능한다. 나무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수분을 방출하며 열기를 식히는 역할을 하며, 기후변화 시대에 도심 ...
  2. 소방청, 전기차 화재 대응 가이드 개정…과학적 대응체계 강화 소방청 국립소방연구원은 7월 2일, 전기차 화재에 보다 정밀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전기차 화재 대응 가이드 개정판」을 발간하고 전국 소방관서에 보급한다고 밝혔다.이번 개정판은 2023년 3월 발간된 초판 이후, 현장 대응성과 과학적 정확성을 한층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됐다. 전기차 보급이 급증하면서 화재 양상도 다양..
  3. 서울 지하철 부정승차 연간 26억 원…“명백한 범죄행위입니다” 서울 지하철에서 무임 승차나 타인 명의 교통카드 사용 등 ‘부정승차’가 해마다 수만 건씩 적발되며 사회적 문제로 떠오른 가운데, 서울교통공사가 단속 강화와 함께 형사·민사상 책임을 끝까지 묻겠다는 방침을 재차 밝혔다.서울교통공사는 2022년부터 2024년까지 3년간 부정승차 단속 건수가 연평균 5만 6천여 건, 단속 금액은 .
  4. “무단 주차에 사고 위험까지”…전동킥보드 민원 급증, 권익위 ‘민원주의보’ 발령 전동킥보드와 같은 개인형 이동장치(PM, Personal Mobility)와 관련된 민원이 해마다 급증하면서 국민권익위원회가 ‘민원주의보’를 발령하고 관계기관에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국민권익위는 30일, 2022년 6월부터 2025년 5월까지 3년간 민원정보분석시스템에 수집된 개인형 이동장치 관련 민원 27,423건을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분석에 따...
  5.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63%로 상승…"경제·민생 정책" 호평 한국갤럽이 7월 8일부터 10일까지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직무수행 긍정평가가 63%를 기록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는 부정평가 23%보다 40%포인트 높은 수치로, 응답자들은 긍정평가 이유로 `경제·민생 정책`(15%)과 `추진력·속도감`(13%)을 가장 많이 꼽았다.한국갤럽이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00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