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AI 서밋, 3만5000명 호응 속에 ‘글로벌 AI 플랫폼’ 발돋움
SK그룹의 국내 대표 인공지능(AI) 행사 ‘SK AI Summit(서밋) 2025’가 4일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지난해 규모 면에서 ‘대한민국 대표 AI 행사’로 자리매김한 서밋은 올해 더 다양한 국적의 기업과 전문가들이 대거 참여하는 ‘글로벌 AI 플랫폼’으로 진화했다. 이번 서밋은 ‘AI Now & Next’를 주제로 AI의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를 조망했다. 3일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기조연설을 시작으로 벤 만(Ben Mann) 앤트로픽(Anthropic) 공동 창업자, 팀 코스타(Tim Costa) 엔비디아(NVIDIA)
김행선 시인, 2025년 남양주 북한강문학제에서 제15회 북한강문학상 본상 수상
지난 11월 1일(토) 오후 1시부터 오후 4시까지 경기 남양주 북한강야외공연장에서 ‘제15회 북한강문학제’가 개최됐다. 이번 행사는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소속 예술인들을 대상으로 한 엄격한 심사를 거쳐 선정된 북한강문학상 수상자들을 격려하고, 문학과 사진이 어우러진 예술의 장을 열었다. 오픈식에서 소프라노 정애화 가수의 공연을 시작으로 행사의 문을 열었다. 제15회 북한강문학상 본상은 김행선(서울) 시인이 수상했다. 수상자 김행선 시인은 한국예술인복지재단 등록 작가며, 문예지에 1년 이상 작품을 발표하거나 시집을 출간한 실적을 기준으
올해 2분기 우리나라 대외채무 규모가 외국인의 국채 등 한국 채권 순투자 영향으로 7,356억달러에 달해 1분기 말보다 521억달러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대외채권도 늘었지만 순대외채권은 소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기말 기준 대외채무 현황 : 통계 출처: 2025년 2/4분기 국제투자대조표(잠정) (한국은행, `25.8.20.)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2025년 2분기 대외채권·채무 동향’에 따르면, 단기외채(만기 1년 이하)는 1,671억달러로 1분기보다 177억달러 늘었고, 장기외채(만기 1년 초과)는 5,685억달러로 344억달러 증가했다.
부문별로는 정부(+302억달러)를 중심으로 중앙은행(+22억달러), 은행(+112억달러), 민간·공공 등 기타 부문(+86억달러)에서 외채가 확대됐다.
대외채권은 1조 928억달러로, 거주자의 해외 채권 투자 확대에 힘입어 1분기 말(1조 513억달러)보다 414억달러 증가했다. 그러나 대외채권에서 대외채무를 뺀 순대외채권은 3,572억달러로, 전 분기(3,679억달러)보다 107억달러 감소했다.
이번 외채 확대에는 외국인의 원화표시 상장채권 순투자가 결정적으로 작용했다. 2분기 동안 외국인은 국고채, 재정증권, 통화안정증권 등을 중심으로 26조2천억원 규모의 순투자를 이어갔다. 월별로는 4월 11조3천억원, 5월 11조3천억원, 6월 3조6천억원의 순유입이 기록됐다.
외채 건전성 지표는 다소 높아졌다. 단기외채/총외채 비중은 21.9%에서 22.7%로, 단기외채/외환보유액 비율은 36.5%에서 40.7%로 각각 상승했다. 다만 이는 최근 3년간 평균치(단기외채/총외채 24.0%, 단기외채/보유액 37.9%) 범위 내에 있어 안정적 수준이라는 평가다.
국내 은행의 외화 상환능력을 보여주는 외화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은 153.4%로 규제비율(80%)을 크게 웃돌았다.
정부는 “글로벌 통상환경과 주요국 통화정책 변화에 따라 국제 자금흐름과 투자심리가 급격히 바뀔 수 있는 상황”이라며 “대외건전성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지속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