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천대학교, 지능형 홈케어 기반구축사업 성과보고 및 컨퍼런스 개최
가천대학교 기반구축사업단(단장 이은석)은 10월 31일(금) 인천 라마다 송도호텔에서 ‘가천대학교 기반구축사업단 2025년 사업 성과보고&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가천대학교 지능형 홈케어 기반구축사업단 이은석 교수팀이 주도해 진행했으며, 가천대학교 교내 관계자와 정부 및 지자체, 공동연구기관, 병원, 산업체, 외부 대학, 그리고 스마트홈 서비스 사용자 등 총 16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지능형 홈케어 기술의 발전 방향과 서비스 실증 확산을 위한 협력 방안을 함께 논의하며 행사의 의미를 더했다. 또한 가천대학교 메디
김행선 시인, 2025년 남양주 북한강문학제에서 제15회 북한강문학상 본상 수상
지난 11월 1일(토) 오후 1시부터 오후 4시까지 경기 남양주 북한강야외공연장에서 ‘제15회 북한강문학제’가 개최됐다. 이번 행사는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소속 예술인들을 대상으로 한 엄격한 심사를 거쳐 선정된 북한강문학상 수상자들을 격려하고, 문학과 사진이 어우러진 예술의 장을 열었다. 오픈식에서 소프라노 정애화 가수의 공연을 시작으로 행사의 문을 열었다. 제15회 북한강문학상 본상은 김행선(서울) 시인이 수상했다. 수상자 김행선 시인은 한국예술인복지재단 등록 작가며, 문예지에 1년 이상 작품을 발표하거나 시집을 출간한 실적을 기준으
창업 초기 스타트업이 특허나 상표권을 미리 확보할 경우 자금조달 가능성이 최대 17.1배까지 높아지고, 기업공개(IPO)나 인수합병(M&A) 등 이른바 `엑싯(exit)` 가능성도 2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 초기 스타트업이 특허나 상표권을 미리 확보할 경우 자금조달 가능성이 최대 17.1배까지 높아지고, 기업공개(IPO)나 인수합병(M&A) 등 이른바 `엑싯(exit)` 가능성도 2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지식재산위원회와 특허청은 7월 21일, 한국지식재산연구원과 한국개발연구원(KDI)이 공동 수행한 『초기 창업기업 자금조달과 특허·상표의 중요성』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분석은 1999년부터 2025년까지의 창업 초기 단계 스타트업 2,615곳의 투자 및 지식재산 데이터를 바탕으로 진행됐다.
연구에 따르면, 스타트업이 특허 또는 상표 출원을 선행할 경우 자금조달 가능성은 ▲시드단계에서 1.7배 ▲시리즈A~B 단계에서 3.1배 ▲시리즈C 이후 단계에서는 최대 6.3배까지 증가했다.
특히 특허·상표 출원 수가 20건 이상일 경우, 자금조달 가능성이 17.1배까지 상승했다.
지재권 출원 규모에 따른 투자단계별 자금조달 가능성 증가 효과 비교
국내뿐 아니라 해외 특허·상표 활동을 병행한 기업의 경우에도 자금 유치 가능성이 7.1배로 크게 증가했다. 특허와 상표를 함께 보유한 경우에는 그 상승폭이 9배에 달했다.
지식재산 활동은 기업의 엑싯 가능성도 끌어올렸다. 연구에 따르면, 특허·상표 출원을 선행한 스타트업의 IPO·M&A 가능성은 출원하지 않은 기업에 비해 최소 2배 이상 높았고, 지식재산 20건 이상을 보유한 기업의 경우 그 가능성은 최대 5.9배에 달했다.
이광형 국가지식재산위원회 민간위원장은 “미국과 유럽처럼 지식재산이 스타트업의 핵심 가치라는 사실이 국내에서도 실증적으로 입증된 것”이라며 “정부는 자금지원뿐 아니라 지식재산 전략 수립을 병행해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허 · 상표 출원 활동 전략별 엑싯 가능성 증가 효과
김완기 특허청장도 “지식재산은 외부 투자자에게 스타트업의 성장 가능성과 혁신 가치를 증명하는 핵심 지표”라며 “스타트업이 IP를 기반으로 선순환적 성장 구조를 만들 수 있도록 실질적인 정책 지원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국내 스타트업 생태계에서 지식재산권(IP)의 전략적 중요성을 수치로 보여준 첫 대규모 실증 분석으로, 향후 창업 지원 정책과 투자 유치 전략 수립에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