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삼성전자 ‘갤럭시 Z 폴드7·Z 플립7’ 15일 자정부터 사전 판매 시작
  • 김종화 기자
  • 등록 2025-07-14 10:49:44

기사수정
  • 7월 15일부터 21일까지 국내 사전 판매 실시, 공식 출시는 7월 25일
  • ‘갤럭시 Z 폴드7·Z 플립7’과 ‘갤럭시 Z 플립7 FE’ 사전 판매
  • 사전 구매 고객 대상 ‘더블 스토리지’ 등 다양한 혜택 제공

삼성전자가 역대 갤럭시 Z 폴드 중 가장 얇고 가벼운 ‘갤럭시 Z 폴드7’, 슬림 베젤을 적용한 커버 디스플레이와 콤팩트한 디자인이 돋보이는 ‘갤럭시 Z 플립7’의 국내 사전 판매를 15일부터 21일까지 일주일간 진행한다. 공식 출시는 이달 25일이다.

 

삼성 강남에서 15일 자정부터 사전 판매를 시작하는 `갤럭시 Z 폴드7`과 `갤럭시 Z 플립7`을 소개하는 모습

‘갤럭시 Z 폴드7’은 블루 쉐도우, 실버 쉐도우, 제트블랙 3가지 색상으로 출시되며, 12GB 메모리 기준 256GB 스토리지 모델이 237만9300원, 512GB 스토리지 모델이 253만7700원이다.

 

16GB 메모리를 탑재한 1TB 스토리지 모델은 블루 쉐도우, 제트블랙 2가지 색상으로 출시되며, 가격은 293만3700원이다.

 

‘갤럭시 Z 플립7’은 블루 쉐도우, 코랄레드, 제트블랙 3종으로 선보인다. 가격은 12GB 메모리 기준 256GB 스토리지 모델이 148만5000원, 512GB 스토리지 모델이 164만3400원이다.

 

삼성닷컴과 ‘삼성 강남’에서만 구매 가능한 민트 색상의 ‘갤럭시 Z 폴드7·Z 플립7’ 자급제 모델도 출시한다.

 

‘갤럭시 Z 폴드7·Z 플립7’ 사전 판매는 전국 삼성스토어와 삼성닷컴, 이동통신사 온오프라인 매장을 비롯해 오픈마켓 등에서 진행되며, 사전 구매 고객은 7월 22일부터 제품 수령 및 개통이 가능하다.

 

한편 삼성전자는 더 많은 고객들에게 폴더블 경험을 선사하는 ‘갤럭시 Z 플립7 FE’도 새롭게 출시한다.

 

‘갤럭시 Z 플립7 FE’는 8GB 메모리, 256GB 스토리지의 블랙, 화이트 2가지 색상으로 가격은 119만9000원이며, 온라인 채널 및 일부 오프라인 채널에서 사전 판매를 진행한다.

 

정품 액세서리도 함께 선보인다. ‘갤럭시 Z 폴드7’은 카본쉴드 케이스, 실리콘 케이스 with 스탠드 등 총 5종을 출시한다.

 

특히 카본쉴드 케이스는 초슬림 갤럭시 Z 폴드7에 어울리도록 역대 가장 얇은 0.8mm 두께로 제작했다. 얇으면서도 내구성이 튼튼한 아라미드 소재를 적용해 긁힘과 변형을 보호해 준다. 가격은 9만9000원이다.

 

‘갤럭시 Z 플립7’은 플립수트 케이스, 카인드수트 케이스 등 총 6종을 출시한다.

 

특히 NFC(근거리무선통신) 기술을 적용한 플립수트 카드가 포함된 플립수트 케이스를 장착하면 플렉스윈도우에서 미니 게임을 즐길 수 있고, 개인별 맞춤 설정이 가능한 포토프레임도 제공한다. 가격은 4만9500원이다.

 

삼성전자는 ‘갤럭시 Z 폴드7·Z 플립7’ 256GB 모델 사전 구매 고객에게 512GB 모델로 저장 용량을 무상 업그레이드해 주는 ‘더블 스토리지(Double Storage)’ 혜택을 제공한다.

 

‘갤럭시 Z 폴드7’ 512GB 모델을 사전 구매한 고객은 23만7600원 추가 결제 시 16GB 메모리의 1TB 스토리지 모델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삼성전자는 ‘갤럭시 Z 폴드7·Z 플립7’, ‘갤럭시 Z 플립7 FE’ 구매 고객에게 삼성닷컴 앱에서 사용 가능한 ‘갤럭시 워치8 시리즈’ 10% 추가 할인 쿠폰과 케이스 & 액세서리 30% 할인 쿠폰 5장을 제공한다.

 

△‘Google AI Pro’ 6개월 무료 구독권 △‘윌라’ 3개월 무료 구독권 △정품 보호필름 1회 무료 부착 서비스 등 혜택도 지원한다.

 

삼성전자는 폴더블 신제품 ‘갤럭시 Z 폴드7·Z 플립7’을 합리적인 가격에 경험할 수 있도록 ‘New 갤럭시 AI 구독클럽’을 운영한다.

 

먼저 ‘New 갤럭시 AI 구독클럽’으로 ‘갤럭시 Z 폴드7·Z 플립7’ 자급제 모델을 구입하면 △기기 반납 시 최대 50% 잔존가 보장 △‘삼성케어플러스 스마트폰 파손’ 제공 △정품 모바일 액세서리 30% 할인 쿠폰 혜택을 제공한다.

 

‘최대 50% 잔존가 보장’ 혜택은 가입 고객이 12개월간 제품 사용 후 반납하면 삼성닷컴 기준가의 최대 50%, 24개월간 사용 후 반납하면 기준가의 최대 40% 보장 혜택이 주어진다.

 

가입 기간은 12개월 또는 24개월 중 선택 가능하며, 구독료는 ‘갤럭시 Z 폴드7’이 월 8900원, ‘갤럭시 Z 플립7’이 월 7900원이다.

 

‘삼성케어플러스 스마트폰 파손’은 가입 기간 파손 보상과 방문 수리를 횟수 제한 없이 받을 수 있는 혜택을 제공한다.

 

구매 고객은 기존 삼성케어플러스 비용과 동일한 구독료만 내면 최신 AI 폰 1년 사용 후 반납 시 최대 50% 잔존가 보장이 가능하고, 파손 부담도 덜 수 있어 구독클럽 가입이 더 유리하다.

 

특히 ‘갤럭시 Z 폴드7·Z 플립7’ 사전 구매 고객은 ‘더블 스토리지’ 혜택이 적용된 단말기 기준가로 보상받을 수 있어 체감 혜택이 더 크다.

 

예를 들어 ‘갤럭시 Z 플립7’ 256GB 모델을 148만5000원에 사전 구매해 ‘더블 스토리지’로 512GB 모델을 수령했다면, 12개월 사용 후 최대 반납 보상 혜택은 512GB 모델 기준가 164만3400원의 50%인 82만1700원으로 실질 보상 금액이 약 55%로 높아진다.

 

삼성전자 한국총괄 정호진 부사장은 “갤럭시 Z 폴드7·Z 플립7은 디자인부터 성능, 폴더블에 최적화된 갤럭시 AI까지 완성도를 높여 폴더블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는 제품”이라며 “사전 구매 기간동안 다양한 혜택과 함께 완전히 새로워진 갤럭시 Z 폴드7·Z 플립7을 만나보길 바란다”고 말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시원한 나무 그늘 속 한걸음…도심 속 천연 여름쉼터 ‘도시숲 10선’ 산림청이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된 7월을 맞아 시민들이 시원하게 산책하며 더위를 식힐 수 있는 ‘산책하기 좋은 도시숲 10선’을 1일 발표했다.도시숲은 여름철 한낮 평균기온보다 3~7℃ 낮은 ‘천연 그늘 쉼터’로 기능한다. 나무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수분을 방출하며 열기를 식히는 역할을 하며, 기후변화 시대에 도심 ...
  2. 소방청, 전기차 화재 대응 가이드 개정…과학적 대응체계 강화 소방청 국립소방연구원은 7월 2일, 전기차 화재에 보다 정밀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전기차 화재 대응 가이드 개정판」을 발간하고 전국 소방관서에 보급한다고 밝혔다.이번 개정판은 2023년 3월 발간된 초판 이후, 현장 대응성과 과학적 정확성을 한층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됐다. 전기차 보급이 급증하면서 화재 양상도 다양..
  3. 서울 지하철 부정승차 연간 26억 원…“명백한 범죄행위입니다” 서울 지하철에서 무임 승차나 타인 명의 교통카드 사용 등 ‘부정승차’가 해마다 수만 건씩 적발되며 사회적 문제로 떠오른 가운데, 서울교통공사가 단속 강화와 함께 형사·민사상 책임을 끝까지 묻겠다는 방침을 재차 밝혔다.서울교통공사는 2022년부터 2024년까지 3년간 부정승차 단속 건수가 연평균 5만 6천여 건, 단속 금액은 .
  4. “무단 주차에 사고 위험까지”…전동킥보드 민원 급증, 권익위 ‘민원주의보’ 발령 전동킥보드와 같은 개인형 이동장치(PM, Personal Mobility)와 관련된 민원이 해마다 급증하면서 국민권익위원회가 ‘민원주의보’를 발령하고 관계기관에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국민권익위는 30일, 2022년 6월부터 2025년 5월까지 3년간 민원정보분석시스템에 수집된 개인형 이동장치 관련 민원 27,423건을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분석에 따...
  5.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63%로 상승…"경제·민생 정책" 호평 한국갤럽이 7월 8일부터 10일까지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직무수행 긍정평가가 63%를 기록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는 부정평가 23%보다 40%포인트 높은 수치로, 응답자들은 긍정평가 이유로 `경제·민생 정책`(15%)과 `추진력·속도감`(13%)을 가장 많이 꼽았다.한국갤럽이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00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