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현대실용음악학회 창립총회 및 학술대회 성황리에 개최
  • 김종화 기자
  • 등록 2025-06-26 09:55:23

기사수정
  • 실용음악 연구의 제도적 기반 마련… 전국 실용음악 연구자들 한자리에

2025년 6월 24일 서울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센터에서 현대실용음악학회(The Society of Contemporary Music)의 창립총회 및 학술대회가 성황리에 개최됐다.

 

24일 현대실용음악학회 창립총회 및 학술대회가 성황리에 개최됐다

이번 행사는 전국의 실용음악 교수, 연구자, 산업 종사자 1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실용음악의 학술적 정체성과 향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는 역사적인 자리가 됐다. 현대실용음악학회는 팝, 재즈, 힙합, R&B, 락, 일렉트로닉 등 현대 실용음악 전반에 걸친 학제적 연구와 융합적 교육을 촉진하기 위해 창립됐으며, 음악 창작, 분석, 교육, 기술, 산업, 공연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중심이 돼 학회를 구성했다.

 

창립 행사는 사무국장인 이병준 교수(홍익대)의 사회로 양은주 교수(명지전문대)가 학회 개설과 관련해 그동안의 경과를 보고했고, 장기호 교수(서경대)와 박기영 교수(홍익대)의 축사로 막을 열었다. 이어서 학회 구성원들의 만장일치로 마도원 교수(동덕여대)가 학회의 초대 회장으로 취임했다.

 

마도원 회장은 “전국 50여 개의 실용음악 관련 대학에서 활약 중인 교수·강사·연구자들이 소통하고 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전문 학술 단체로 성장시키겠다”며 “실용음악이 대중문화의 중심에서 학문적으로도 뿌리내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이어진 학술대회에서는 KC Bridge(Guitar 최우혁, Piano 박민선, Bass 이준삼, Drum 이도헌)가 무대에 올라 최우혁 작곡의 ‘봄을 새우다’와 Jim Hall 편곡의 ‘The Way You Look Tonight’를 연주하며 참가자들의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김영 대표(AnAI)가 ‘AI 음성기술을 통한 콘텐츠 현지화’라는 주제로 인공지능 음성 합성과 실용음악 콘텐츠의 산업적 접목 가능성을 제시하며, 학술과 산업 간의 협력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보여줬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마도원 교수(동덕여대)의 발제로 ‘실용음악 현대화성의 이해’라는 주제로 현대 재즈에서 등장하는 비기능화성(Non-functional Chord)의 개념과 역할을 분석하고, 실용음악 화성 이론 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안했다.

 

첫 번째 학술지는 8월 30일에 발간될 예정이며, 원고 마감은 7월 10일까지다. 관련 정보는 학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현대실용음악학회는 향후 △정기 학술대회 개최 △실용음악 관련 학술지 발간 △융합 콘텐츠 연구 △산업 협력 프로젝트 발굴 △저작권·공연산업·음악교육 등 다양한 이슈에 대한 학제 간 연구를 추진할 예정이다.

 

다음은 현대실용음악학회 초대 임원 명단이다.

 

- 고문: 이정선, 장기호, 박기영 (홍익대학교)

- 감사: 방현승 (동덕여자대학교)

- 회장: 마도원 (동덕여자대학교)

- 부회장: 양은주 (명지전문대)

- 사무국장: 이병준 (홍익대학교)

- 학술위원: 정순도 (상명대학교), 신창섭 (강서대학교)

- 편집위원: 김현태 (세종대학교), 채승균 (경기대학교)

- 공연·연주위원: 최우혁 (백석대학교), 오재철 (동아방송예술대학교)

- 국제교류위원: 유정연 (한양대학교)

- 창작(대중·영화)위원: 강화성 (서경대학교), 이지수 (서울대학교)

- 기획제작위원: 장민호 (상명대학교), 오구일 (목원대학교)

- 출판지원위원: 김재선 (예솔출판)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시원한 나무 그늘 속 한걸음…도심 속 천연 여름쉼터 ‘도시숲 10선’ 산림청이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된 7월을 맞아 시민들이 시원하게 산책하며 더위를 식힐 수 있는 ‘산책하기 좋은 도시숲 10선’을 1일 발표했다.도시숲은 여름철 한낮 평균기온보다 3~7℃ 낮은 ‘천연 그늘 쉼터’로 기능한다. 나무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수분을 방출하며 열기를 식히는 역할을 하며, 기후변화 시대에 도심 ...
  2. 소방청, 전기차 화재 대응 가이드 개정…과학적 대응체계 강화 소방청 국립소방연구원은 7월 2일, 전기차 화재에 보다 정밀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전기차 화재 대응 가이드 개정판」을 발간하고 전국 소방관서에 보급한다고 밝혔다.이번 개정판은 2023년 3월 발간된 초판 이후, 현장 대응성과 과학적 정확성을 한층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됐다. 전기차 보급이 급증하면서 화재 양상도 다양..
  3. 서울 지하철 부정승차 연간 26억 원…“명백한 범죄행위입니다” 서울 지하철에서 무임 승차나 타인 명의 교통카드 사용 등 ‘부정승차’가 해마다 수만 건씩 적발되며 사회적 문제로 떠오른 가운데, 서울교통공사가 단속 강화와 함께 형사·민사상 책임을 끝까지 묻겠다는 방침을 재차 밝혔다.서울교통공사는 2022년부터 2024년까지 3년간 부정승차 단속 건수가 연평균 5만 6천여 건, 단속 금액은 .
  4. “무단 주차에 사고 위험까지”…전동킥보드 민원 급증, 권익위 ‘민원주의보’ 발령 전동킥보드와 같은 개인형 이동장치(PM, Personal Mobility)와 관련된 민원이 해마다 급증하면서 국민권익위원회가 ‘민원주의보’를 발령하고 관계기관에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국민권익위는 30일, 2022년 6월부터 2025년 5월까지 3년간 민원정보분석시스템에 수집된 개인형 이동장치 관련 민원 27,423건을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분석에 따...
  5.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63%로 상승…"경제·민생 정책" 호평 한국갤럽이 7월 8일부터 10일까지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직무수행 긍정평가가 63%를 기록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는 부정평가 23%보다 40%포인트 높은 수치로, 응답자들은 긍정평가 이유로 `경제·민생 정책`(15%)과 `추진력·속도감`(13%)을 가장 많이 꼽았다.한국갤럽이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00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