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AI 서밋, 3만5000명 호응 속에 ‘글로벌 AI 플랫폼’ 발돋움
SK그룹의 국내 대표 인공지능(AI) 행사 ‘SK AI Summit(서밋) 2025’가 4일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지난해 규모 면에서 ‘대한민국 대표 AI 행사’로 자리매김한 서밋은 올해 더 다양한 국적의 기업과 전문가들이 대거 참여하는 ‘글로벌 AI 플랫폼’으로 진화했다. 이번 서밋은 ‘AI Now & Next’를 주제로 AI의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를 조망했다. 3일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기조연설을 시작으로 벤 만(Ben Mann) 앤트로픽(Anthropic) 공동 창업자, 팀 코스타(Tim Costa) 엔비디아(NVIDIA)
김행선 시인, 2025년 남양주 북한강문학제에서 제15회 북한강문학상 본상 수상
지난 11월 1일(토) 오후 1시부터 오후 4시까지 경기 남양주 북한강야외공연장에서 ‘제15회 북한강문학제’가 개최됐다. 이번 행사는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소속 예술인들을 대상으로 한 엄격한 심사를 거쳐 선정된 북한강문학상 수상자들을 격려하고, 문학과 사진이 어우러진 예술의 장을 열었다. 오픈식에서 소프라노 정애화 가수의 공연을 시작으로 행사의 문을 열었다. 제15회 북한강문학상 본상은 김행선(서울) 시인이 수상했다. 수상자 김행선 시인은 한국예술인복지재단 등록 작가며, 문예지에 1년 이상 작품을 발표하거나 시집을 출간한 실적을 기준으
촉감놀이 등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수정토(워터비즈)’가 어린이에게 심각한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소비자원은 수정토 삼킴 시 장 폐색 등 중대한 상해를 초래할 수 있다며 25일 안전주의보를 발령했다.
한국소비자원은 수정토 삼킴 시 장 폐색 등 중대한 상해를 초래할 수 있다며 25일 안전주의보를 발령했다.
수정토는 물을 흡수해 수십 배 이상 팽창하는 고흡수성 폴리머 공으로, 수경재배·방향제·인테리어 소품 등으로 사용되지만 최근 유아용 촉감놀이로도 활용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 그러나 물과 접촉해 원래 크기의 100배 이상 커지는 성질 때문에, 어린이가 삼킬 경우 체내에서 팽창해 위장관을 막는 등 위험이 크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수정토 관련 안전사고는 총 102건으로, 모두 만 14세 미만의 어린이에게 발생했다. 이 중 사고의 67.6%는 1~3세의 걸음마기 아동에게 집중됐으며, 사고 원인으로는 삼킴(44.1%)과 체내 삽입(54.9%)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특히 걸음마기 연령대에서는 삼킴 사고 비율이 월등히 높았다.
대부분의 사고는 가정 내에서 발생했으며, 수정토의 밝은 색상과 둥근 모양이 사탕 등으로 오인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위험 요소다. 실제로 어린이는 사고 이후에도 상황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해 보호자의 대처가 늦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사전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해외에서도 심각한 사례가 발생했다. 2023년 7월 미국 위스콘신주에서는 생후 10개월 영아가 수정토를 삼킨 후 장 폐색으로 숨진 사례가 보고됐고, 미국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CPSC)는 같은 해에만 6,000건 이상의 관련 사고를 집계했다. 이에 따라 미국은 수정토를 완구나 감각 교구로 판매하는 것을 금지하는 법안 도입을 추진 중이다.
국내의 경우, 50% 이상 팽창하는 제품은 완구로 판매할 수 없지만, 원예용이나 소품용으로는 판매가 가능하다. 그러나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14세 미만 사용 부적합’ 표기를 하고 있음에도 유아나 초등학생을 위한 장난감 용도로 구매하는 소비자 후기가 다수 확인되고 있다.
소비자원은 “수정토는 어린이 놀이용으로 사용하거나 구매하지 말고, 보관 시 어린이 손에 닿지 않는 곳에 두며, 사용 후에는 바닥 등에 떨어진 알갱이가 없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어린이가 수정토를 삼키거나 체내에 삽입한 경우 지체 없이 병원을 방문해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