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퀀텀 코리아 2025’ 개막…“100년의 양자, 산업을 깨우다”
  • 김종화 기자
  • 등록 2025-06-24 15:46:11

기사수정
  • 6월 24~26일 양재 aT센터서 개최…세계 8개국 57개 양자 기업·기관 참가
  • 기조연설·국제 컨퍼런스·산업 전시회·대중강연 등 총망라한 세계 최대 양자행사
  • “양자기술 산업화의 전환점”…한국형 양자 생태계 확장 위한 국제 협력 강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는 6월 24일부터 26일까지 3일간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세계 최대 규모의 양자과학기술 국제 행사인 ‘퀀텀 코리아 2025(Quantum Korea 2025)’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세상을 바꾸는 시간 15

‘100년의 양자, 산업을 깨우다’를 슬로건으로 내건 이번 행사는 양자기술의 학술·산업적 융합을 도모하고, 한국형 양자 생태계(K-Quantum) 확장을 위한 국제 협력 강화를 목적으로 기획됐다. 2023년 출범 후 2회째를 맞은 퀀텀 코리아는 작년 5천여 명이 참관한 데 이어 올해는 8개국 57개 기업·기관이 참가해 한층 확대된 글로벌 행사로 자리매김했다.

 

개막식은 24일 오전 열렸으며, 과기정통부 유상임 장관과 김태현 조직위원장을 비롯해 유럽연합·미국·스위스·핀란드 등 해외 대표단 300여 명이 참석했다. 개막식 후에는 12개국 양자정책을 소개하는 ‘퀀텀 프론티어 포럼’이 이어졌다.

 

기조연설에는 세계적인 양자기술 리더들이 나섰다. 24일에는 아마존 웹서비스(AWS)의 오스카 페인터 교수와 미국 QED-C 대표 실리아 메르츠바허가 각각 ‘양자컴퓨팅의 오류정정과 스케일링’, ‘양자경제로의 전환’을 주제로 발표했다. 25일에는 코넬대 김은아 교수가 ‘양자복잡성’에 대해 강연한다.

 

양자 컴퓨팅·통신·센싱·과학 등 4개 분야 8개 분과에서 구성된 국제 학술회의도 3일간 진행되며, 양자 기술의 산업화 가능성을 집중 조명하는 산업 세션도 마련됐다. 미국, 유럽연합, 일본 등 13개국 양자산업협회 전문가들이 ▲국제 기술 동향 ▲국가별 산업 생태계 ▲국제 협력 클러스터에 대해 토론을 벌인다.

 

전시회에는 IBM, IonQ, QuEra, Zurich Instruments 등 글로벌 기업과 KT, SK텔레콤, LG유플러스 등 국내 대표 기업,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대학·출연연 등이 참여해 최신 기술과 제품을 공개한다. 전시장 중앙에서는 기업별 기술 발표도 열린다.

 

또한 국제 원탁회의와 글로벌 네트워킹 리셉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공동 연찬회 등 다양한 국제 협력 행사도 마련됐으며, 한-덴마크-스위스-네덜란드 4개국 양자 기술 공개 발표회도 진행된다.

 

일반 대중을 위한 특별 프로그램도 주목된다. 25일 오후에는 대중강연 ‘차이나는 Q-클라스’가 김상욱 교수(경희대)와 과학 커뮤니케이터 궤도의 공동 진행으로 열리며, 26일에는 정연욱·김갑진 교수 등 국내 양자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세바시(세상을 바꾸는 시간)’ 강연도 개최된다.

 

과기정통부 유상임 장관은 “퀀텀 코리아 2025는 기술과 산업, 연구와 정책, 국가와 시민을 연결하는 플랫폼”이라며 “양자기술을 통해 새로운 산업 생태계를 열고 국경을 넘는 신뢰와 협력의 장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행사 관련 세부 정보와 일정은 공식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시원한 나무 그늘 속 한걸음…도심 속 천연 여름쉼터 ‘도시숲 10선’ 산림청이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된 7월을 맞아 시민들이 시원하게 산책하며 더위를 식힐 수 있는 ‘산책하기 좋은 도시숲 10선’을 1일 발표했다.도시숲은 여름철 한낮 평균기온보다 3~7℃ 낮은 ‘천연 그늘 쉼터’로 기능한다. 나무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수분을 방출하며 열기를 식히는 역할을 하며, 기후변화 시대에 도심 ...
  2. 소방청, 전기차 화재 대응 가이드 개정…과학적 대응체계 강화 소방청 국립소방연구원은 7월 2일, 전기차 화재에 보다 정밀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전기차 화재 대응 가이드 개정판」을 발간하고 전국 소방관서에 보급한다고 밝혔다.이번 개정판은 2023년 3월 발간된 초판 이후, 현장 대응성과 과학적 정확성을 한층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됐다. 전기차 보급이 급증하면서 화재 양상도 다양..
  3. 서울 지하철 부정승차 연간 26억 원…“명백한 범죄행위입니다” 서울 지하철에서 무임 승차나 타인 명의 교통카드 사용 등 ‘부정승차’가 해마다 수만 건씩 적발되며 사회적 문제로 떠오른 가운데, 서울교통공사가 단속 강화와 함께 형사·민사상 책임을 끝까지 묻겠다는 방침을 재차 밝혔다.서울교통공사는 2022년부터 2024년까지 3년간 부정승차 단속 건수가 연평균 5만 6천여 건, 단속 금액은 .
  4. “무단 주차에 사고 위험까지”…전동킥보드 민원 급증, 권익위 ‘민원주의보’ 발령 전동킥보드와 같은 개인형 이동장치(PM, Personal Mobility)와 관련된 민원이 해마다 급증하면서 국민권익위원회가 ‘민원주의보’를 발령하고 관계기관에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국민권익위는 30일, 2022년 6월부터 2025년 5월까지 3년간 민원정보분석시스템에 수집된 개인형 이동장치 관련 민원 27,423건을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분석에 따...
  5.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63%로 상승…"경제·민생 정책" 호평 한국갤럽이 7월 8일부터 10일까지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직무수행 긍정평가가 63%를 기록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는 부정평가 23%보다 40%포인트 높은 수치로, 응답자들은 긍정평가 이유로 `경제·민생 정책`(15%)과 `추진력·속도감`(13%)을 가장 많이 꼽았다.한국갤럽이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00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