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천대학교, 지능형 홈케어 기반구축사업 성과보고 및 컨퍼런스 개최
가천대학교 기반구축사업단(단장 이은석)은 10월 31일(금) 인천 라마다 송도호텔에서 ‘가천대학교 기반구축사업단 2025년 사업 성과보고&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가천대학교 지능형 홈케어 기반구축사업단 이은석 교수팀이 주도해 진행했으며, 가천대학교 교내 관계자와 정부 및 지자체, 공동연구기관, 병원, 산업체, 외부 대학, 그리고 스마트홈 서비스 사용자 등 총 16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지능형 홈케어 기술의 발전 방향과 서비스 실증 확산을 위한 협력 방안을 함께 논의하며 행사의 의미를 더했다. 또한 가천대학교 메디
김행선 시인, 2025년 남양주 북한강문학제에서 제15회 북한강문학상 본상 수상
지난 11월 1일(토) 오후 1시부터 오후 4시까지 경기 남양주 북한강야외공연장에서 ‘제15회 북한강문학제’가 개최됐다. 이번 행사는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소속 예술인들을 대상으로 한 엄격한 심사를 거쳐 선정된 북한강문학상 수상자들을 격려하고, 문학과 사진이 어우러진 예술의 장을 열었다. 오픈식에서 소프라노 정애화 가수의 공연을 시작으로 행사의 문을 열었다. 제15회 북한강문학상 본상은 김행선(서울) 시인이 수상했다. 수상자 김행선 시인은 한국예술인복지재단 등록 작가며, 문예지에 1년 이상 작품을 발표하거나 시집을 출간한 실적을 기준으
2024년 말 기준 우리나라 퇴직연금 적립금이 431.7조원을 기록하며, 제도 도입 이후 처음으로 400조원을 돌파했다. 정부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4 퇴직연금 투자백서’를 6월 발표하며, 최근 퇴직연금 시장이 단순한 저축 중심에서 투자 중심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래프로 살펴본 2024년 퇴직연금
퇴직연금 적립금은 2023년보다 49.3조원 증가(12.9%)한 431.7조원으로, 3년 연속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했다. 특히 실적배당형 상품에 투자된 금액은 75.2조원으로 전년 대비 53.3% 급증했으며, 전체 적립금 중 실적배당형 비중도 17.5%로 상승했다(2022년 11.3%, 2023년 12.8%).
이 같은 변화는 특히 DC(확정기여형)와 IRP(개인형 퇴직연금) 중심으로 이뤄졌으며, IRP 내 실적배당형 비중은 33.5%에 달했다. 투자 상품 중에는 은퇴 시점을 고려한 TDF(타깃데이트펀드)와 미국 주식시장에 연동된 ETF가 주류를 이뤘다.
2024년 퇴직연금 전체 연간 수익률은 4.77%로, 최근 5년간 평균(2.86%) 및 10년간 평균(2.31%)을 모두 상회했다. 운용방법별로는 실적배당형 수익률이 9.96%로 원리금보장형(3.67%)을 크게 웃돌았다.
제도별 수익률은 IRP 5.86%, DC 5.18%, DB 4.04% 순으로, 운용 주체가 개인에 가까울수록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특히 퇴직연금을 연금으로 수령한 금액 비중이 전체의 57.0%로, 처음으로 일시금 수령을 넘어섰다. 이는 전년(49.7%) 대비 7.3%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수령 계좌 기준 연금수령 비율도 13.0%로 상승했다.
권역별로는 증권사 퇴직연금 계좌가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DC·IRP 가입자 중 수익률이 10%를 초과한 비율은 증권사에서 31.7%에 달한 반면, 은행은 4.3%, 보험사는 3.3%에 불과했다.
상위 10% 계좌의 경우 실적배당형 상품 비중이 평균의 3배 이상으로, 특히 IRP 상위 계좌의 실적배당형 비중은 은행 84%, 증권사 92%에 달했다. 반면 DB제도에서는 수익률 2~4% 구간에 85.3%가 몰려 있어 상대적 수익률 격차가 확인됐다.
정부는 투자 경험이 부족한 가입자를 위해 디폴트옵션 제도를 도입해 자동 운용 포트폴리오를 제공하고 있으며, 올해 4월까지 실물이전 서비스를 통해 3.8조원 규모의 적립금이 이동됐다.
또한, 핀테크 기반 로보어드바이저(RA)를 활용한 투자일임도 IRP 가입자에 한해 가능하도록 제도를 확대한 상태다.
퇴직연금제도가 단순한 노후자금 확보 수단을 넘어, 자산 형성과 투자활동의 핵심으로 떠오르면서 가입자들의 전략적 접근과 제도 활용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