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국가기술자격, 어떤 자격이 임금 높고 취업 잘 될까...광업자원·건설안전 분야 강세
  • 김종화 기자
  • 등록 2025-05-26 10:06:26

기사수정
  • 기술사 취득 시 초임 431만원으로 최고 수준
  • 기사·산업기사 중 건설재료시험, 가스 등 특정 종목 임금 높아
  • 고용노동부 “청년 구직자에게 실질적인 정보 제공 위해 빅데이터 분석 지속”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은 26일, 국가기술자격 취득자의 임금 수준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하며, 어떤 자격이 임금이 높고 취업이 잘 되는지에 대한 빅데이터 기반 통계를 공개했다.

 

국가기술자격 등급별 초임임금(가기술자격 취득당시 미취업상태였다가 `24.7월말 기준으로 조회했을 때 취업한 경우 초임임금 분석) 자료=고용노동부 제공

이번 분석은 2023년 고용24(구 워크넷)에 등록된 국가기술자격 우대 채용공고 12만7천여 건과 2023년 자격을 취득한 후 2024년 7월까지 고용보험 가입 이력이 확인된 17만여 명의 취업자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채용공고에 제시된 평균임금을 기준으로 보면, 자격 등급별로 기술사가 월 328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기사는 289만원, 기능장과 산업기사는 각각 283만원, 기능사는 261만원, 서비스 자격은 228만원 수준이었다.

 

직무분야별로는 광업자원이 월 367만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재료(296만원), 건설(295만원), 안전관리(291만원) 분야가 그 뒤를 이었다. 종목별로는 건설안전기술사(462만원), 건설재료시험기사(364만원),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389만원), 천공기운전기능사(400만원)가 높은 제시임금을 기록했다.

 

실제 자격 취득 후 1년 이내 취업자의 초임임금을 고용보험 자료로 분석한 결과, 기술사는 431만원으로 제시임금보다 103만원 높았고, 기능장(299만원), 산업기사(270만원), 기사는 265만원, 기능사는 222만원, 서비스 자격은 215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초임임금도 직무 분야에 따라 차이가 컸다. 광업자원이 340만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안전관리(290만원), 화학(280만원), 재료(275만원), 기계(262만원) 순이었다. 종목별로는 콘크리트기사(420만원), 가스산업기사(316만원), 제선기능사(314만원), 비서2급(233만원) 등이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연령대별로는 청년층(19~34세)에서는 금속재료기사와 제강기능사가 340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가스산업기사(327만원), 제선기능사(314만원)가 뒤를 이었다. 중장년층(35~54세)은 건설안전기사(371만원), 고령층(55세 이상)은 건축기사(398만원)가 각각 최고 초임임금 종목으로 조사됐다.

 

한편 채용공고에서 제시한 임금과 실제 초임임금 간에는 일부 차이가 있었다. 고용노동부는 이에 대해 “기술사와 기능장은 경력자 채용을 전제로 한 공고가 많아 제시임금보다 초임임금이 높은 반면, 기사 등급 이하의 자격은 청년층 취득자 비중이 높아 실제 초임은 제시임금보다 낮게 형성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임영미 고용노동부 직업능력정책국장은 “국가기술자격 취득 외에도 임금은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지만, 이번 분석은 자격 취득을 고려하는 구직자에게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양질의 일자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국가기술자격 관련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분석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시원한 나무 그늘 속 한걸음…도심 속 천연 여름쉼터 ‘도시숲 10선’ 산림청이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된 7월을 맞아 시민들이 시원하게 산책하며 더위를 식힐 수 있는 ‘산책하기 좋은 도시숲 10선’을 1일 발표했다.도시숲은 여름철 한낮 평균기온보다 3~7℃ 낮은 ‘천연 그늘 쉼터’로 기능한다. 나무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수분을 방출하며 열기를 식히는 역할을 하며, 기후변화 시대에 도심 ...
  2. 소방청, 전기차 화재 대응 가이드 개정…과학적 대응체계 강화 소방청 국립소방연구원은 7월 2일, 전기차 화재에 보다 정밀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전기차 화재 대응 가이드 개정판」을 발간하고 전국 소방관서에 보급한다고 밝혔다.이번 개정판은 2023년 3월 발간된 초판 이후, 현장 대응성과 과학적 정확성을 한층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됐다. 전기차 보급이 급증하면서 화재 양상도 다양..
  3. 서울 지하철 부정승차 연간 26억 원…“명백한 범죄행위입니다” 서울 지하철에서 무임 승차나 타인 명의 교통카드 사용 등 ‘부정승차’가 해마다 수만 건씩 적발되며 사회적 문제로 떠오른 가운데, 서울교통공사가 단속 강화와 함께 형사·민사상 책임을 끝까지 묻겠다는 방침을 재차 밝혔다.서울교통공사는 2022년부터 2024년까지 3년간 부정승차 단속 건수가 연평균 5만 6천여 건, 단속 금액은 .
  4. “무단 주차에 사고 위험까지”…전동킥보드 민원 급증, 권익위 ‘민원주의보’ 발령 전동킥보드와 같은 개인형 이동장치(PM, Personal Mobility)와 관련된 민원이 해마다 급증하면서 국민권익위원회가 ‘민원주의보’를 발령하고 관계기관에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국민권익위는 30일, 2022년 6월부터 2025년 5월까지 3년간 민원정보분석시스템에 수집된 개인형 이동장치 관련 민원 27,423건을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분석에 따...
  5.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63%로 상승…"경제·민생 정책" 호평 한국갤럽이 7월 8일부터 10일까지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직무수행 긍정평가가 63%를 기록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는 부정평가 23%보다 40%포인트 높은 수치로, 응답자들은 긍정평가 이유로 `경제·민생 정책`(15%)과 `추진력·속도감`(13%)을 가장 많이 꼽았다.한국갤럽이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00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