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전국 평균 저수율 평년 웃돌아…정부, 5월 가땀 예·경보 발표
  • 김종화 기자
  • 등록 2025-05-12 09:46:54

기사수정
  • 최근 강수량은 평년의 79.2%…강원 영동·경남 등 기상가뭄 지속
  • 정부, 106억 원 투입해 농업용수 공급 확대…생활·공업용수는 정상

정부가 5월 전국 가뭄 예·경보를 발표하며, 일부 지역의 강수 부족에도 불구하고 전국 평균 저수율은 평년 수준을 웃돌고 있다고 밝혔다. 관측 결과 최근 6개월간 전국 누적 강수량은 평년의 79.2%로 강원 영동, 경상도, 전라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기상가뭄이 발생한 상태다.

 

5월 가뭄 예 · 경보 발표

기상청 예보에 따르면 올해 5월과 7월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한 수준, 6월은 평년보다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정부는 본격적인 영농기 전 용수공급 대책 마련에 나섰다.

 

농업용 저수지의 전국 평균 저수율은 5월 1일 기준 84.0%로, 평년(79.1%) 대비 106.2%에 해당한다. 지역별로도 충남 110.3%, 강원 107.1% 등 대부분 지역에서 평년을 상회하는 수준을 유지 중이다. 정부는 만성적인 용수 부족 농경지를 중심으로 106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42개 시·군 165개 지구에 용수공급시설을 지원하고 있다.

 

다목적댐 19곳과 용수댐 12곳의 저수량도 각각 예년 대비 124.7%, 91.6% 수준으로, 전국 생활·공업용수는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있다. 그러나 일부 내륙과 섬 지역은 ‘관심’ 또는 ‘주의’ 단계로 분류돼 비상도수로 설치, 관정 개발 등 대체수원 확보 조치를 병행하고 있다.

 

정부는 앞으로도 관계 부처와 협력해 가뭄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매월 예·경보를 통해 국민에게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시원한 나무 그늘 속 한걸음…도심 속 천연 여름쉼터 ‘도시숲 10선’ 산림청이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된 7월을 맞아 시민들이 시원하게 산책하며 더위를 식힐 수 있는 ‘산책하기 좋은 도시숲 10선’을 1일 발표했다.도시숲은 여름철 한낮 평균기온보다 3~7℃ 낮은 ‘천연 그늘 쉼터’로 기능한다. 나무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수분을 방출하며 열기를 식히는 역할을 하며, 기후변화 시대에 도심 ...
  2. 소방청, 전기차 화재 대응 가이드 개정…과학적 대응체계 강화 소방청 국립소방연구원은 7월 2일, 전기차 화재에 보다 정밀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전기차 화재 대응 가이드 개정판」을 발간하고 전국 소방관서에 보급한다고 밝혔다.이번 개정판은 2023년 3월 발간된 초판 이후, 현장 대응성과 과학적 정확성을 한층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됐다. 전기차 보급이 급증하면서 화재 양상도 다양..
  3. 서울 지하철 부정승차 연간 26억 원…“명백한 범죄행위입니다” 서울 지하철에서 무임 승차나 타인 명의 교통카드 사용 등 ‘부정승차’가 해마다 수만 건씩 적발되며 사회적 문제로 떠오른 가운데, 서울교통공사가 단속 강화와 함께 형사·민사상 책임을 끝까지 묻겠다는 방침을 재차 밝혔다.서울교통공사는 2022년부터 2024년까지 3년간 부정승차 단속 건수가 연평균 5만 6천여 건, 단속 금액은 .
  4. “무단 주차에 사고 위험까지”…전동킥보드 민원 급증, 권익위 ‘민원주의보’ 발령 전동킥보드와 같은 개인형 이동장치(PM, Personal Mobility)와 관련된 민원이 해마다 급증하면서 국민권익위원회가 ‘민원주의보’를 발령하고 관계기관에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국민권익위는 30일, 2022년 6월부터 2025년 5월까지 3년간 민원정보분석시스템에 수집된 개인형 이동장치 관련 민원 27,423건을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분석에 따...
  5. 한국문화원 없는 52개 도시·국가서도 ‘케이-컬처’ 활짝…문체부, ‘어울림 한국문화페스티벌’ 확대 문화체육관광부는 전 세계 한국문화원이 없는 52개 도시 및 국가를 대상으로, 현지 주민들과 함께하는 ‘어울림 한국문화페스티벌’을 연중 개최한다고 4일 밝혔다. 이는 기존 한국문화원이 설치된 국가의 다른 도시를 중심으로 추진돼온 ‘찾아가는 케이-컬처’ 사업을 전면 확대·개편한 것으로, 한류의 지리적 사각지대..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