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천대학교, 지능형 홈케어 기반구축사업 성과보고 및 컨퍼런스 개최
가천대학교 기반구축사업단(단장 이은석)은 10월 31일(금) 인천 라마다 송도호텔에서 ‘가천대학교 기반구축사업단 2025년 사업 성과보고&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가천대학교 지능형 홈케어 기반구축사업단 이은석 교수팀이 주도해 진행했으며, 가천대학교 교내 관계자와 정부 및 지자체, 공동연구기관, 병원, 산업체, 외부 대학, 그리고 스마트홈 서비스 사용자 등 총 16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지능형 홈케어 기술의 발전 방향과 서비스 실증 확산을 위한 협력 방안을 함께 논의하며 행사의 의미를 더했다. 또한 가천대학교 메디
김행선 시인, 2025년 남양주 북한강문학제에서 제15회 북한강문학상 본상 수상
지난 11월 1일(토) 오후 1시부터 오후 4시까지 경기 남양주 북한강야외공연장에서 ‘제15회 북한강문학제’가 개최됐다. 이번 행사는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소속 예술인들을 대상으로 한 엄격한 심사를 거쳐 선정된 북한강문학상 수상자들을 격려하고, 문학과 사진이 어우러진 예술의 장을 열었다. 오픈식에서 소프라노 정애화 가수의 공연을 시작으로 행사의 문을 열었다. 제15회 북한강문학상 본상은 김행선(서울) 시인이 수상했다. 수상자 김행선 시인은 한국예술인복지재단 등록 작가며, 문예지에 1년 이상 작품을 발표하거나 시집을 출간한 실적을 기준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전 대표가 10일 영상 메시지를 통해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를 공식 선언하며, “진짜 대한민국, 진정한 주권자의 나라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전 대표가 10일 영상 메시지를 통해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를 공식 선언하며, `진짜 대한민국, 진정한 주권자의 나라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재명 전 대표는 이날 출마 선언 영상에서 “내란마저 이겨내고 있는 위대한 주권자의 외침에 응답하기 위해 출마한다”며 “그냥 이름만 있는 대한민국이 아니라 진짜 대한민국, 진정한 주권자의 나라를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대한국민의 훌륭한 도구, 최고의 도구 이재명이 되고 싶다”며 자신이 국민의 뜻을 실현하는 수단이 되겠다고 강조했다.
이 전 대표는 지난 시기 한국 사회가 겪은 정치적 격동과 촛불 집회를 언급하며 “겨울이 너무 길고 깊었지만 결국 국민들이 깨고 나오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영원할 것 같은 겨울도 가고 이제 봄이 온다. 따뜻한 봄날을 꼭 만들었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현재의 갈등과 대립 상황에 대해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경제”라고 진단했다. 이어 “세상 살기가 어려워져서, 양극화와 불평등, 격차가 커졌기 때문”이라며 “총량은 늘었지만, 그 부는 일부에 편중돼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과학기술 투자와 정부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첨단 기술은 이제 개별 기업이 감당하기 어렵고, 정부 단위의 인력 양성 및 연구개발 투자가 필수”라고 말했다.
민생 문제에 대해서는 “고통스럽게 살지 않게 해주는 것, 행복한 삶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정치의 본질”이라고 정의했다. 그는 “공직자들은 사소해 보이는 일부터 빠르게 해결해야 하며, 모든 국민의 삶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국가안보와 외교정책에 있어서는 “한미동맹과 한미일 협력 관계는 매우 중요하다”면서도 “최우선 기준은 대한민국의 국익”이라고 했다. 그는 “경쟁할 것은 경쟁하고, 협력할 것은 협력하며, 갈등은 조정하는 원칙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전 대표는 문화강국을 꿈꿨던 백범 김구 선생의 사상을 인용하며 “이제는 K컬처를 넘어 K민주주의, K이니셔티브로 세계를 선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소프트 파워 측면에서 대한민국은 세계 여러 영역에서 충분히 경쟁력 있고, 그런 나라를 꼭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
출마 선언의 마지막에서도 이 전 대표는 “진짜 대한민국, 대한 국민이 만드는 나라를 만들겠다”며 “민주공화국 대한민국을 함께 만들어 가자”고 강조했다. 그는 “정치의 색깔보다 중요한 것은 국민 삶을 개선하는 실용성”이라며, “민생 살리기에 색깔이 무슨 의미냐”고 반문하기도 했다.
이 전 대표는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이 국가의 첫 번째 책무”라고 말하며, 약자 보호와 위기 대응 역량 강화를 핵심 과제로 제시했다. 그는 “우리가 조금만 더 신경 썼더라면 막을 수 있었던 사고들이 많다”며, 체계적이고 신속한 대응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그는 “작지만 큰 나라, 평범한 사람들이 희망을 꿈꿀 수 있는 나라, 진짜 대한민국을 만들겠다”고 다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