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AI 서밋, 3만5000명 호응 속에 ‘글로벌 AI 플랫폼’ 발돋움
SK그룹의 국내 대표 인공지능(AI) 행사 ‘SK AI Summit(서밋) 2025’가 4일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지난해 규모 면에서 ‘대한민국 대표 AI 행사’로 자리매김한 서밋은 올해 더 다양한 국적의 기업과 전문가들이 대거 참여하는 ‘글로벌 AI 플랫폼’으로 진화했다. 이번 서밋은 ‘AI Now & Next’를 주제로 AI의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를 조망했다. 3일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기조연설을 시작으로 벤 만(Ben Mann) 앤트로픽(Anthropic) 공동 창업자, 팀 코스타(Tim Costa) 엔비디아(NVIDIA)
김행선 시인, 2025년 남양주 북한강문학제에서 제15회 북한강문학상 본상 수상
지난 11월 1일(토) 오후 1시부터 오후 4시까지 경기 남양주 북한강야외공연장에서 ‘제15회 북한강문학제’가 개최됐다. 이번 행사는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소속 예술인들을 대상으로 한 엄격한 심사를 거쳐 선정된 북한강문학상 수상자들을 격려하고, 문학과 사진이 어우러진 예술의 장을 열었다. 오픈식에서 소프라노 정애화 가수의 공연을 시작으로 행사의 문을 열었다. 제15회 북한강문학상 본상은 김행선(서울) 시인이 수상했다. 수상자 김행선 시인은 한국예술인복지재단 등록 작가며, 문예지에 1년 이상 작품을 발표하거나 시집을 출간한 실적을 기준으
전국지표조사(NBS) 149차 조사 결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과 관련해 국민 57%가 ‘인용해 파면해야 한다’고 응답했으며, 헌법재판소 결정이 내 생각과 달라도 ‘수용하겠다’는 응답은 절반(50%)에 달했다.
전국지표조사(NBS) 149차 조사 결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과 관련해 국민 57%가 `인용해 파면해야 한다`고 응답했으며, 헌법재판소 결정이 내 생각과 달라도 `수용하겠다`는 응답은 절반(50%)에 달했다.
엠브레인퍼블릭, 케이스탯리서치, 코리아리서치, 한국리서치가 공동 수행한 제149차 전국지표조사(NBS)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 탄핵 심판에서 ‘인용해 파면해야 한다’는 의견이 전체 응답자의 57%로 나타났다. 반면 ‘기각해 직무에 복귀시켜야 한다’는 응답은 35%에 그쳤다.
특히 정치 성향에 따른 응답 차이는 극명했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95%, 조국혁신당 지지층의 97%가 탄핵 인용을 지지한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의 89%는 탄핵 기각을 주장했다. 이념별로는 진보 89%, 중도 65%가 인용을, 보수 67%가 기각을 선호했다.
헌법재판소의 실제 판결 전망에 대해서도 ‘탄핵을 인용할 것’이라는 답변이 55%로, ‘기각할 것’이라는 응답(34%)보다 21%p 높았다. 본인의 입장과 무관하게 탄핵 인용을 전망하는 응답자가 다수였으며, 이는 탄핵 찬성 여론의 강세를 뒷받침한다.
탄핵을 인용해 파면해야 한다 57% > 탄핵을 기각해 직무에 복귀시켜야 한다 35%
윤 대통령의 탄핵 심판 대응에 대해서는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 평가가 59%로, ‘잘하고 있다’는 긍정 평가(30%)를 크게 앞섰다. 특히 탄핵 인용을 주장한 응답자의 91%가 윤 대통령의 대응에 부정적 평가를 내렸다.
헌법재판소의 심판 절차에 대한 신뢰도는 ‘신뢰한다’와 ‘신뢰하지 않는다’가 각각 46%로 팽팽하게 갈렸으며, 전 차수 대비 신뢰 응답은 7%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헌재 판결을 수용할지를 묻는 질문에는 ‘내 생각과 달라도 수용하겠다’는 응답이 50%, ‘수용하지 않겠다’는 응답이 44%로 다소 차이를 보였다. 특히 탄핵 찬성층에서 ‘수용하지 않겠다’는 비율이 51%로, 정치적 입장과 결과의 불일치에 대한 거부감이 뚜렷했다.
차기 대선 적합도에서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33%로 1위를 차지했고, 김문수 전 지사가 9%, 오세훈·홍준표·한동훈 등이 각 4%로 뒤를 이었다. 대선후보 호감도에서도 이재명이 38%로 가장 높았다.
정당 기준으로 대선후보 지지를 묻는 문항에서도 더불어민주당 후보(40%)가 국민의힘 후보(28%)를 앞섰으며, 차기 대선 구도와 관련해선 ‘정권교체’ 여론이 51%로, ‘정권 재창출’(33%)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2025년 3월 31일부터 4월 2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이다. 조사 방식은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이용한 전화면접이며, 응답률은 22.4%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를 참조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