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천대학교, 지능형 홈케어 기반구축사업 성과보고 및 컨퍼런스 개최
가천대학교 기반구축사업단(단장 이은석)은 10월 31일(금) 인천 라마다 송도호텔에서 ‘가천대학교 기반구축사업단 2025년 사업 성과보고&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가천대학교 지능형 홈케어 기반구축사업단 이은석 교수팀이 주도해 진행했으며, 가천대학교 교내 관계자와 정부 및 지자체, 공동연구기관, 병원, 산업체, 외부 대학, 그리고 스마트홈 서비스 사용자 등 총 16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지능형 홈케어 기술의 발전 방향과 서비스 실증 확산을 위한 협력 방안을 함께 논의하며 행사의 의미를 더했다. 또한 가천대학교 메디
김행선 시인, 2025년 남양주 북한강문학제에서 제15회 북한강문학상 본상 수상
지난 11월 1일(토) 오후 1시부터 오후 4시까지 경기 남양주 북한강야외공연장에서 ‘제15회 북한강문학제’가 개최됐다. 이번 행사는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소속 예술인들을 대상으로 한 엄격한 심사를 거쳐 선정된 북한강문학상 수상자들을 격려하고, 문학과 사진이 어우러진 예술의 장을 열었다. 오픈식에서 소프라노 정애화 가수의 공연을 시작으로 행사의 문을 열었다. 제15회 북한강문학상 본상은 김행선(서울) 시인이 수상했다. 수상자 김행선 시인은 한국예술인복지재단 등록 작가며, 문예지에 1년 이상 작품을 발표하거나 시집을 출간한 실적을 기준으
카카오임팩트가 IT 기술을 활용한 사회 혁신 프로젝트 ‘테크포임팩트 LAB’ 1기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성과공유회에서 7개 기술 솔루션을 공개했다.
카카오임팩트가 IT 기술을 활용한 사회 혁신 프로젝트 `테크포임팩트 LAB` 1기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성과공유회에서 7개 기술 솔루션을 공개했다.
카카오의 기업재단 카카오임팩트(이사장 류석영)는 21일 카카오 판교아지트에서 모두의연구소(대표 김승일)와 함께 추진하는 테크포임팩트 LAB 1기의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를 가졌다. 행사에는 카카오임팩트 육심나 사무국장, 모두의연구소 김승일 대표, 테크포임팩트 LAB 참여자 등 테크업계 현직자 약 100명이 참여했다.
테크포임팩트의 첫 프로젝트인 DVA LAB의 미니 다큐 시사를 시작으로 7개 LAB의 성과 발표와 참여자 네트워킹 순으로 진행됐으며, 다큐에서는 AI 엔진을 활용한 남방큰돌고래 보호 프로젝트의 개발 과정을 생생히 전했다.
테크포임팩트 LAB은 사회혁신가(브라이언펠로우)와 현직 IT 전문가가 협업해 사회문제 해결에 활용 가능한 기술을 개발하는 프로젝트다. 이번 1기는 IT 전문가 90여 명이 총 7개 LAB에 기획자, 개발자, 디자이너로 역할을 나누어 참여했다.
이날 테크포임팩트 LAB 1기가 공개한 기술은 ▲저사양 기기용 백내장 진단 AI 앱 ‘CataScan’, ▲쉬운 글 자동 번안 AI 웹서비스 ‘피치서가 쉬운말 번안기’, ▲복약상담 기록·관리 웹서비스인 ‘Caring Note’, ▲농난청인-문자통역사 매칭 서비스 ‘소통’, ▲비영리 단체 기부자 분석 AI 챗봇 서비스 ‘팬파인더’ ▲휠체어 사용자 위한 ‘Wheely-X PLAY 피트니스 게임’ ▲태양광 패널 탐지 시스템 등으로 7개 기술 모두 서비스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카카오임팩트는 이번 행사를 마지막으로 1기의 공식 활동을 종료하고 개발된 결과물이 상반기 내 실제 현장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기술 이관에 돌입한다. 또한, 기술이 사회 혁신 조직에 안착해 지속 가능한 임팩트를 만들어갈 수 있도록 후속 개발 및 유지보수 비용을 지원하고, 오는 6월에는 테크포임팩트 LAB 2기를 모집해 새로운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기술 지원을 이어갈 예정이다.
‘피치서가 쉬운말 번안기’를 만든 황윤경 랩장은 “테크포임팩트 LAB은 세상의 문제를 발견하는 기회였다”며, “5개월이라는 짧은 시간이지만, IT 기술이 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직접 확인한 뜻깊은 경험이었다”고 밝혔다.
카카오임팩트 류석영 이사장은 “현실적으로 사회 문제에 적용 가능한 방법론을 고민해 온 테크포임팩트 LAB의 성과를 공유하는 뜻깊은 자리”라며 “개발로 끝이 아니라, 기술이 실제 현장에 녹아들어 사회 변화의 시작이 될 수 있도록 후속 지원에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모두의연구소 김승일 대표는 “공들여 개발한 솔루션들이 곧 상용화를 앞두고 있어 기대가 크다”며 “앞으로도 기술과 사회 혁신의 접점을 확장하는 노력을 함께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카카오임팩트는 새로운 이니셔티브인 ‘테크포임팩트’를 선언하고 관련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테크포임팩트는 디지털 기술과 소셜 임팩트 영역이 만나면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변화와 영향력이 더욱 확대될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소셜 임팩트 조직과 기술 인력 간의 연결을 지향한다. 올해 3월에는 연세대, 한양대와 협력해 사회 변화에 기여할 인재를 양성하는 ‘테크포임팩트 캠퍼스’ 개강 워크숍을 개최한 바 있다.